I. 머리말
II. 연구사
III. 百濟 轡의 屬性과 型式
1. 百濟 轡의 構造
2. 百濟 轡의 屬性
3. 百濟 轡의 型式設定
IV. 百濟 轡의 分期와 年代設定
1. 分期設定
2. 分期別 年代
V. 百濟 轡의 展開 樣相
VI. 맺음말
요약
백제지역에서는 그간 마구의 출토예나 출토 양이 타 지역에 비해 적어 발전양상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큰 실정이었다. 그 결과 백제지역은 마구의 유입과 출현이 상대적으로 늦으며, 가야의 영향으로 마구가 유입․발전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가야와 신라보다 일찍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영토 확장을 추구했던 백제가 마구의 도입에 다른 지역보다 늦었다는 것은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근래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에서 삼한시대의 거유구 부속품이 출토되어 『삼국지』동이전 한전 기록에 대한 재해석과 함께 이른 시기부터 마구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최근 중서부지방 뿐만 아니라 호남지방 등에서도 마구류의 출토예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다시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현재까지 백제지역에서 출토된 마구류 중 轡를 중심으로 백제 馬문화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사를 검토하고, 백제 비의 속성과 형식, 분기와 연대설정, 전개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일찍부터 고대국가의 체계를 확립한 백제가 다른 삼국에 비해 마구의 출토 빈도가 낮은 것은 단순히 마구의 사용빈도가 낮았던 것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당시 사회상에서 찾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당시 백제는 고구려의 공격으로 인해 다른 세력과의 화친관계가 절실한 상황으로 고구려에 대한 영향력이 컸던 중국지역과의 관계모색으로 이를 모면하고자 했으며 이 같은 사실은 문헌에 나와 있는 조공기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또한 토기 등에 있어서 백제토기 기형의 모티브 및 제작 방법의 기원을 중국 자기에서 찾는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남조문화에 대한 백제인들의 문화적 욕구가 강했음을 알 수 있으며 마구류도 이와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의 마구류도 재지적인 기술적 바탕위에 일찍부터 중국에서 유입된 기마용 마구들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실용적 마장문화를 이룩하고 나아가 주변지역과 교류를 통해 변화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