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扶餘 窺岩出土 百濟 方形 무늬벽돌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 저자 박용진
  • 발행일 1985년 10월 25일
  • 게재지 文山金三龍博士華甲紀念
  • 발행처 文山金三龍博士華甲紀念事業會

목차

Ⅰ. 머릿말
Ⅱ. 方形무늬벽돌의 類型
Ⅲ. 方形무늬벽돌의 類型別 造形
1. 方形區 무늬벽돌
2. 方形·圓形區 무늬벽돌
Ⅳ. 맺음말

요약

扶餘 窺岩出土 百濟方形무늬벽돌을 중심으로 類型分類와 造形的構造特徵을 槪觀해 보았다. 그 유형으로는 방형무늬의 구성특징에 따라 2종류 卽 方形區무늬벽돌과 方形·圓形區무늬벽돌로 크게 나누고, 방형구무늬벽돌의 경우는 山景文과 鬼形文을 주제로 전면에 전개한 2유형으로 구분하고, 방형·원형구무늬벽돌은 인동연화문, 연화·과운문, 봉황문, 반룡문을 구성한 4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그 유형별 주제를 더욱 구체화하여 山景文을 山景·雲文과 山景·瑞鳥雲文으로, 귀형문을 岩座鬼形文과 蓮座鬼形文으로 세분하여 方形區무늬벽돌을 4개양식으로 하고, 인동연화문을 인동·연화와문으로, 연화·과운문을 연화문·과운문으로, 봉황문을 봉황·운문으로, 반룡문을 반룡·운문으로 세분하여 방형·방형구무늬벽돌을 4개의 양식으로 분류했다.
방형구무늬벽돌 가운데 산경문벽돌의 경우 그 조형적 특징은 그 구도를 前景과 中景 그리고 遠景으로 구성하고, 中景에 해당하는 곳에 거의 평면적으로 처리한 주제의 산경문을 배치했는데 이는 사실적인 봉황화법을 구사하여 온아한 백제 조형의 전형미를 집약한 것이다. 그 가운데 山景·瑞鳥雲文의 경우는 근대적 회화구도에서 보는 것처럼 짜여져 있고, 특히 사실적인 中景의 산경문표현기법과 도안적이고 추상적인 瑞鳥雲文의 遠景 畵風이 대조를 이루고 있어 백제회화의 발전과 변천의 한 과정을 표준하는 작품임에 주목된다.
귀형문벽돌의 조형적 특징은 도깨비를 주제로 방형구 전면에 크게 浮刻 전개했는데, 도깨비 특유의 마력적인 표현에 부족함이 없는 이른바 세련된 백제 장인의 뛰어난 조형감각의 유산으로 대표되는 작품의 예가 되고 있다.
방형·원형구무늬벽돌가운데 인동연화문벽돌은 백제의 인동연화와문을 집대성한 조형으로 대표되는 것이며, 연화·과운문 벽돌은 사실적이고 정형적인 백제 연화와문과 도안적이고 추상적인 과운문의 구성으로 그 미술적 감각의 뛰어남과, 서로 다른 두 세계의 조화 즉 땅의 연꽃과 하늘의 구름, 구상과 비구상, 6세기적인 연꽃의 표현기법과 7세기적인 구름의 조형기교가 만남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바로 백제 조형미술의 발전적 변천과정을 설명하는 귀중한 작품인 것이다.
그리고 봉황문벽돌과 반룡문벽돌의 경우는 머리부분의 사실적이고 정교한 彫法과, 동체와 날개 또는 사지 등에서 유선적이고 율동적인 표현과 생략과 강조의 기법을 읽을 수 있어 유연한 조형미와 강건한 의지 표현을 제한된 공간에 종합 구성한 백제인의 예술적 산물이라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부드러운 조형미, 고도로 세련된 기법, 그리고 뛰어난 예술 감각은 백제의 유품에서만 볼 수 있는 조형특징이라고 하겠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文山金三龍博士華甲紀念事業會 에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

'박용진'님께서 발행한 자료

  • 박용진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