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백제 장신구에 표현된 문양
Ⅲ. 백제 장신구 문양의 종류 및 상징성
Ⅳ. 백제 장신구 문양의 유형 및 특성
Ⅴ. 결론
요약
이제까지 출토된 백제 장신구를 대상으로 문양의 종류와 형태를 알아보고, 문양을 분류하여 그에 따른 상징적 의미 고찰과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백제 장신구에 나타난 문양의 종류를 크게 식물문․동물문․기하문․기타 문양으로 구분하였고, 문양의 상징적 의미는 주로 권위․다산과 풍요․장수․벽사 등이었다.
둘째, 백제 장신구 문양은 단독형과 복합형이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단독형은 식물문․동물문․기하문․기타문이 모두 나타났다. 복합형은 식물문+식물문이 결합된 경우 주로 연화문과 인동당초문이, 동물문+동물문이 결합된 경우 주로 용문과 봉황문이, 기하문+기하문이 결합된 경우는 파상문과 점문이 조합되었다.
셋째, 백제 장신구의 특성으로 소재는 금․은․금동이 사용되었고, 그 중 금동이 가장 많았다.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은 투각․타출․새김․누금세공 등이 있었는데 대부분 투각과 타출 기법이 사용되었다. 백제 장신구 문양은 구성적으로 식물문이나 동물문이 주된 문양으로 사용되었고 기하문은 주로 구획을 짓거나 테두리의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표현되었다. 용도에 따른 문양 표현으로 식물문은 관식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동물문은 금동제 관식․과대와 요패․금동리 등에 골고루 분포되었으며, 기하문은 귀갑문 형태로 금동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기타문의 C형 운문은 관모 또는 관식에서만 보이고 귀면문은 요패 또는 과대금구에서만 나타났다.
넷째, 백제 장신구 문양은 대부분 대칭적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장신구 문양의 절묘한 대칭적 구성은 예술적 균형미를 이룸으로써 편안함과 안정감을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백제 장신구 문양으로 초화형의 식물문양이 선호되었다.
결론적으로 백제인의 부드럽고 여유로우며 예술 지향적인 성격이 장신구 문양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특히 관식은 백제 초기에는 조우관의 형태였을 것이나 점차적으로 초화형의 관식으로 변화되어 백제인의 성격이 반영된 문양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백제 관식의 그리스 식 반 팔메트 인동당초문은 외형에 조화를 이루고 섬세함과 화려함이 고구려․신라에 뒤지지 않으며, 삼국 중 가장 율동적이고 자유롭게 표현되었다. 무령왕릉 관식의 인동당초문과 유사한 문양이 고구려와 일본에도 있으나 백제보다 제작연대가 늦으며, 중국은 남북조 모두 거의 비슷한 시기에 나타나고 있어 백제의 진취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백제는 고대 삼국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식물문양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발전시켰음을 알 수 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