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단경호의 형식분류 및 타당성 검토
1. 형식분류
2. 형식분류의 타당성 검토
Ⅲ. 영산강유역 단경호의 변천과 그 배경
1. 분기 설정과 편년
2. 분기별 출토유구 및 공반유물의 변천상
3. 변천 배경
Ⅳ. 맺음말
요약
본고는 영산강유역의 원저계통 단경호를 형식분류하고 변천과정과 그 배경을 살펴본 것이다. 단경호는 삼국시대 전반에 걸친 다양한 유구에서 출토되고 있어 형식학적으로 연속적인 변화상을 보인다. 형식분류는 명목형 속성(저부와 구연부 형태)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연속형 속성(구형도와 문양 구성)에 따라 군집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복수의 단경호가 출토된 유구에서 형식별 공반관계, 변천과정이 비교적 뚜렷한 옹관묘 출토 단경호의 변천양상을 통해 형식분류의 타당성과 변천과정을 확인하였다.
영산강유역 단경호는 새로운 양식의 등장과 소멸을 기준으로 크게 4분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는 3세기 전・중엽~4세기 중・후엽으로, 원저( I형)나 편평 말각평저(II형)인 단경호가 주거지와 제형분구에서 확인된다. 2기는 4세기 중・후엽~5세기 중엽으로 원저(I형)나 편평 말각평저(II형)에 구순에 홈이 돌아가는 단경호(D형)가 나타난다. 이러한 단경호는 대형화된 제형분구에서 새로운 기종의 토기들과 공반되고 있다. 3기는 5세기 중엽~6세기 중엽으로 다양한 형식의 단경호가 확인되고 있는데, 이 시기는 영산강유역에서 분구의 형태나 유물 양식이 다양화되는 때이기도 한다. 4기는 6세기 중엽 이후로 영산강유역에서 백제계통의 석실묘와 유물이 일반화되는 시기이다. 오목 말각평저(III형)의 단경호가 영산강 중・하류지역의 일부 옹관묘와 석실묘에서 한정적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단경호의 형식변천은 당시 정치・사회・문화적인 요인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