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II. 영산강유역 고분 출토 마구의 특징과 의미
1. 마구류의 출토 현황 및 구성
2. 종류별 특징과 의미
3. 말의 순장
III. 결론
요약
이글에서는 영산강유역에서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전엽에 걸쳐 갑자기 여러 계통의 장식마구가 등장하여 고분에 부장되는 현상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종류별로 나누어 특징, 연대, 계보 등을 살펴본 후에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영산강유역에서는 5세기 늦은 시기까지 마구가 고분에 전혀 부장되지 않았다. 이때까지 영산강유역에 마구가 등장하지 않은 것은 마구가 부장된 금강 이북 지역과 백제 중앙과 맺은 관계, 지역 내의 사회상황이 동일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마구로 보는 한 5세기 중엽까지 백제 중앙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었으며 마구가 필요 한 군사적, 사회적, 정치적 상황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영산강유역에 마구 부장 풍습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5세기 후엽 한성의 함락 이후 백제 왕권이 영산강유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상황에서 영산강유역 토착세력이 마구 부장이 성행한 가야, 왜 등과 본격적으로 교섭하면서부터인 것으로 보인다. 당시 호남 서남부에서 세력을 다투던 지역집단의 수장들에게는 장식마구가 상징하는 위세품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마구의 수입원은 백제, 가야, 신라 및 왜 등으로 다원적이다. 영산강유역 마구의 계보가 이렇게 다원성을 보이는 것은 영산강유역의 각 지역집단이 힘의 원천을 다양한 곳에서 구한 현상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