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II. 원저단경호와 발형토기 상대편년 방법론
III. 유적별 상대편년
1. 청주지역
2. 청원 오창지역
3. 천안 청당동
IV. 유적간 비교
V. 결론
요약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편년에는 원저단경호와 발형토기의 속성분류 및 형식설정을 통한 교차편년 또는 단위유적 내에서의 순서배열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의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편년에 사용되는 원저단경호의 주요 속성들이 아직 교차편년에 필요할 만큼 시간성 확보가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충청북부지역 원삼국시대의 대규모 분묘유적을 대상으로 단위유적 내 편년을 시도한다. 본고에서는 토기에서 추출된 연속형 변수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동일 구역 또는 분묘 내에서 최대한 시간적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변수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단위유적 내 토기형태의 시간적 변화상을 추적하였다. 분석결과, 청주지역 원저단경호는 구연부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동체의 팽만도가 감소하면서 부장 토기가 소형화되는 방향으로, 발형토기는 기고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그 형태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청원 오창지역에서는 원저단경호 구연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다가 저부의 형태가 평저화하는 방향으로, 발형토기의 저부가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화가 진행됨을 감지하였다. 천안지역에서는 원저단경호의 목지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면서 소형토기의 부장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각 지역 편년결과를 바탕으로, 청주지역의 원삼국시대는 4개의 분기로, 청원 오창지역은 3개의 분기로, 천안 청당동유적은 크게 2개의 분기로 세분할 수 있었다. 또한 청동제 마형대구는 이 지역 원삼국시대에서 비교적 늦은 시기에 유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충청북부지역 토기변화상은 지역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볼 때 현재의 편년이 기반하고 있는 교차편년의 타당성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