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북방문화 전통과 금속제 冠
Ⅲ. 금동관 장식의 유형과 사상적 원류
Ⅳ. 冠制의 변화와 그 배경
Ⅴ. 맺음말
요약
관은 머리에 쓰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문양을 새기거나 장식을 부착하여 그 상징성을 나타내었다. 백제 금동관의 경우 부착된 핵심적인 장식은 鳥翼形과 樹枝形이다. 이는 백제의 새 숭배 및 수목 숭배 신앙을 반영한 것이다. 이에 필자는 백제가 신성하게 여긴 새와 나무가 무엇인가를 검토해보고 이를 금동관의 전면 및 후면에 부착한 장식과 연결시켜 장식에 내포된 상징성과 사상을 검토하였다.
백제는 고리국-부여-고구려-백제로 이어지는 북방문화에 속하며,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의 하나가 금속제 관이다. 따라서 금속제 관에는 북방문화의 요소가 강하게 투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권위의 상징인 금동관에 붙여진 장식은 당시 사람들이 신성하다고 생각한 관념을 나타낸 것이다. 그 신성 관념의 하나가 바로 새 숭배와 수목 숭배였다. 금동관에 부착된 조익형 장식과 수지형 장식은 바로 신성한 새와 신성한 나무를 표현한 것이다. 새와 나무의 신성성은 이미 솟대에서 보인다. 따라서 금동관의 조형 장식과 수지형 장식은 소도에서 기원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 중 필자는 조형장식은 매를, 수지형 장식은 괴목(회화나무)으로 보았다.
또한 백제 관제의 변화를 검토하였는데, 이를 3단계로 설정하였다. 제Ⅰ기는 5세기 2/4분기까지 금동 모관에 조형 장식을 붙여 만든 관을 사용한 시기, 제Ⅱ기는 5세기 3/4분기에서 5세기 말까지로 모관과 대관이 붙어 있고 수지형 세움 장식이 부착된 관을 사용한 시기이다. 제Ⅲ기는 6세기 이후 백제 말기까지로 천으로 관모를 만든 후 금화식이나 은화식으로 장식한 관을 사용한 시기이다. 이러한 변화 배경을 개로왕대의 문화 흐름과 수지형 장식의 출현, 양문화 수용과 금화․은화 관식과 연결하였다. 그리고 사비지역에서 출토되는 은제관식은 1枝형, 3枝형, 5枝형 관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식이 착용자의 정치적 사회적 서열을 보여준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이 없다. 그러나 이에 더하여 필자는 관식의 줄기와 가지의 수가 1, 3, 5개인 점에 주목하여, 음양오행 사상의 영향으로 보았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