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이중구연호의 출토유적과 분포
Ⅲ. 이중구연호의 형식분류와 편년
1. 형식분류
2. 유구 및 공반유물 검토
3. 이중구연호의 형식과 편년
Ⅳ. 이중구연호의 변화상과 성격
1. 시기별 변화
2. 지역별 변화
3. 성격
Ⅴ. 맺음말
요약
이중구연호는 3~4세기대에 집중 출토되고 있으며, 서남부지역 특히 호남지역에 집중분포하고 있다. 본고는 이중구연호를 형식분류하여 시기별·지역별 변화상을 살펴본 것이다. 형식분류는 저부와 동체 세장도를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유구와 공반유물을 통해 형식별 변화상을 확인하였다. 이중구연호는 ⅠA→ⅠB·ⅡA→ⅠC·ⅡB·ⅡC→ⅡD형식으로 변화하는데 가장 이른 형식은 3세기 전반에 호남지역 영산강 서북부지역의 주구토광묘에서 등장한다. 이 시기에는 ⅠA, ⅠB, Ⅱ A형식이 중심을 이룬다. 3세기 중반 이후 중서부이남 전 지역에서 모든 형식의 이중구연호가 지속 된다. 그러다가 4세기 중반 이후에는 그 수가 현저히 줄어들지만 여전히 ⅡA, ⅡD형식은 출토된다. 그리고 ⅡA형식은 6세기까지 잔존하며 호남지역의 주거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3세기 중반 이후 이중구연호는 지역적 색채를 보여주고 있다. 영산강 서북부지역에서 ⅠA, ⅠB형식, 영산강 중·하류에서ⅠC형식, 영산강 상류지역에서 ⅡC형식이 출토되고, ⅡA형식은 모든 지역에 걸쳐 확인되나 중서부지역, 해남지역, 탐진강유역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된다. 이와 같이 이중구연호는 3세기에서 6세기대까지 출토되고 있고 3~4세기에 집중 출토된다. 4세기 전반 이후에는 그 개체수가 점자 줄어들고 있는데, 이 시기 호남지역의 양상이 주구토광묘에서 옹관묘로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도기적 시기로 이중구연호의 쇠퇴는 당시 정치·사회·문화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