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漢城百濟 形成期 編年의 問題點
III. 住居址 및 土器遺物群 變遷의 分期와 年代
IV. 中部地方의 土器生産體系와 生産의 專門化
V. 맺음말
요약
본 연구에서는 원삼국․삼국시대 중부지방의 취락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유물군을 주심으로 토기생산 전문화의 수준을 진단하고 그 변동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에 앞서 최근 발굴 보고된 남양주 장현리유적을 중심으로 토기유물군의 편년을 검토했다. 그 결과 打捺文 甕과 鉢이 生産되기 시작한 것은 4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되어 기존의 연대보다 100년 하향 조정 되었다. 기존의 견해처럼 한성백제 양식의 기종들은 3세기 후반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4세기 후엽부터 점진적으로 등장하여 5세기 중엽에 가까운 시기에 완비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다음으로 토기유물군의 변화를 생산체계 변동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먼저 원삼국시대에는 취락 내 중도식무문토기 생산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 시대 말기에 타날문단경호 전문생산을 위한 독립된 공방이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타날기법과 회전법에 의해 옹과 발 기종이 표준화된 형태로 대량생산되는 것은 4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되었다. 이 생산시스템의 기술체계는 타날문 단경호의 제작기술과 연관되지만 산수리요지와 같은 토기생산유적에서 생산 기종을 확대했다는 증거는 찾지 못했다. 다만 대전 용계동유적의 사례를 보면 대규모 취락의 경우 옹과 발의 생산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운영했을 가능성도 크다는 것은 지적할만하다. 끝으로 저장용토기의 생산․분배시스템에 대해 검토했다. 백제의 경우 지하식 수혈에 대형토기를 이용하는 저장방법이 유행했기에 5세기에는 그러한 저장방식에 사용된 대형단경호의 생산이 확대되었다. 이 대형단경호는 취락 단위로 실용토기를 제작했던 생산체계나 기술체계와는 판이한 방식으로 생산되었다고 보며 백제 국가체계의 개입에 따른 것으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