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2. 금동식리에 대한 관찰
3. 금동식리의 제작공정 복원
4. 한성시기 백제 금동식리의 특징
5. 맺음말
요약
한성시기 백제 식리는 측판을 전후면에서 결합하였으며 바닥에 금동못을 부착한 점이 특징이다. 또한 웅진시기의 식리와는 달리 영락을 매단 것이 없으며 초기에는 투조기법만으로 문양을 표현하였으나 차츰 조금기법과 이면타출기법이 구사되었다. 측판의 주요한 문양으로 활용된 것은 凸자문인데 기존의 연구처럼 신라와는 문양분포 패턴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필자는 금동식리를 복원제작하면서 이 식리를 실제 신고 활동할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강하게 들었다. 워낙 얇은 금속판을 이용하여 약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수촌리1호분과 3호분 식리 내부에서 무덤 주인공의 발 뼈가 발견되었으므로 무덤 주인공의 발여 신겨진 채 부장된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구조상의 허약성은 식리의 실용성에 의문을 가지게 한다. 현재까지의 관찰 결과 백제 한성시기의 금동식리는 장송의례용품으로 특수하게 제작하여 망자의 시신에 착장시켰거나 무덤 속에 넣어준 물품으로 추정하는 여러 선행연구와 의견을 같이하고 싶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