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영산강유역권의 가야계 토기 검토
1. 광구소호와 장경소호
2. 단경호와 단경소호
3. 파배・고배・개
4. 기대와 대부호
Ⅲ. 영산강유역권의 가야계 토기 단계별 양상
Ⅳ. 토기로 본 영산강유역과 가야의 교류
1. 서남해안지역을 통한 교류
2. 내륙을 통한 교류의 본격화
3. 교류의 다원화
Ⅴ. 맺음말
요약
영산강유역권의 외래계 자료 중에서도 가야계 토기는 4·6세기대에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가야지역에서도 영산강유역권과 관련되는 토기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영산강유역권의 가야 관련 토기를 검토하고 가야지역의 관련 자료를 간단하게 언급하면서 영산강유역권과 가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다룬 영산강유역권의 가야 관련 기종은 광구소호, 장경소호, 단경호, 파배, 고배, 개, 기대나 대부호 등이다.
그 결과 영산강유역권의 가야 관련 토기, 가야지역의 영산강유역권 관련 토기는 전남동부지역과는 다르지만 다소 복잡한 상황으로 전개되었으며, 시기와 중심 분포 지역에서 차이를 보이므로 그 배경도 달랐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4세기 후반에는 단경호와 광구소호 등에서 서남해안지역은 다른 남해안지역의 양상과 동일하게 함안을 중심으로 한 아라가야와의 교류가 확인되고, 서해안과 영산강유역의 내륙지역에서는 금관가야와의 교류도 확인된다. 이 때에는 반입품이 주를 이루며, 5세기를 넘어가면 이러한 토기들의 토착화도 상당히 활발해진다. 따라서 4세기 후반~5세기 전반에는 주로 서남해안지역을 통한 영산강유역과 가야의 교류가 확인되며 여러 토기들의 토착화 과정에는 백제에 대한 영산강유역 지역세력의 차별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5세기 중·후엽에는 광주와 산청 지역 등 내륙으로 이어지는 교류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영산강상류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세력이 백제의 가야 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과 관련된다. 그리고 6세기 전엽에는 백제와 가야를 포함한 주변지역과의 교섭에서 이전 단계와 마찬가지로 영산강상류지역을 중심으로 내륙을 통한 교류도 이어지지만, 나주 다시일대, 그리고 해남, 고성 등 남해안지역으로 이어지는 교류도 상당히 활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