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Ⅲ. 형식 설정과 연대
Ⅳ. 용봉문환두대도의 계보와 기술 전파
Ⅴ. 맺음말
요약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되는 용봉문환두대도는 환두부와 병연금구, 초미금구, 병부에 표현한 용문, 혹은 봉환문을 금, 은, 동 등의 귀금속을 사용해 화려하게 꾸민 장식대도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최근 자료가 급증한 백제지역 출토품을 비롯해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출토된 용봉문환두대도를 집성한 후 제작기술의 분석을 통해 대도의 계보와 기술 전파 양상 및 그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패용자의 성격이 가장 위시적으로 드러날 것으로 추정되는 환두부를 중점으로 제작기술 속성과 형태속성을 검토한 결과 용봉문환두대도는 총 3개의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형식에 대한 연대는 절대연대자료의 부족과 형식별 개체수의 부족으로 고분 편년을 참고하였는데 A형식과 B형식은 대략 5세기 전·중엽을 중심시기로 C형식은 5세기 후엽에서 6세기 중엽까지 존속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형식별 분포상황과 제작기술을 통해 각 형식의 계보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A형식과 B형식은 백제계로, C형식은 대가야계로 파악할 수 있었다. 형식별 기술의 전파 양상과 관련해서는 5세기 후엽 완성된 형태로 돌연히 출현하는 대가야계 용봉문환두대도에 주목하고 이러한 배경에는 한성기 백제에 존재하고 있었던 A,B형식의 용봉문환두대도 제작기술이 웅진천도 등을 계기로 대가야 지역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대가야계 용봉문환두대도가 한반도 남부지방에 확산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5세기 후엽 영역국가단계까지 발전한 대가야 왕권에 의해 대가야권 내 지방 수장층에게 사여되거나 신라 및 영산강 유역 정치체들과의 교역의 산물일 가능성을 지적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6세기 중엽 대가야계 용봉문환두대도가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 현상은 대가야의 멸망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