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백제 한성기의 초기 마구는 『三國志』「위서」동이전 한조의 기록과 대체로 부합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백제의 마구 중 재갈(轡)이 80%를 점하며, 등자도 초기부터 부분 보강된 목심철판장등이 5세기대까지 계속해서 제작되며, 장식성이 없는 실용적인 마구가 주류를 이루는 점이 이 시기 큰 특징이라고 파악하였다.
한성기 백제의 마구는 크게 4단계로 구분되는데, 백제 마구 도읍기인 1단계는 榆樹老河深(유수노하심) 56호묘와 동일한 형태의 자료가 출토되어 그 시는 4세기전반~중엽경으로 비정하였다. 4세기후반경의 2단계에는 재지화 과정 중에 재갈의 형태가 다양해지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5세기대의 3·4 단계에는 백제 마구가 정형화되는 단계로, 재갈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철판을 보강한 등자도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백제 마구는 중국에서 유입된 도자의 교차연대를 기초로 동북지방의 선비계 마구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백제 초기의 마구는 금강유역권을 통해 가야지역으로까지도 확산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