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韓時代 이전의 남한지역은 韓의 시대였다. 考古學上 戰國時代 이래의 중국 방면으로부터의 유이민의 東來와 문화의 유입, 고조선 계통의 유이민의 도래와 문화의 유입은 충분히 입증되고도 남음이 있다. 그러므로 한반도 남단에서의 계속되는 중국, 고조선 지역에서의 유이민의 도래는 韓 사회를 三分시키고 낙동강유역 등에 辰韓, 弁韓의 유이민 정치 사회를 성립시키게 된다. 韓의 본체는 馬韓으로 이어진다.
月支國은 마한의 종주국으로서의 위치를 고려할 때 기원전 3~1세기에 있어서 남한지역의 청동기문화의 중심지에 비정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남한지역에서 古文獻에 나타난 銅鑛産地가 다른 곳 보다 많은 곳, 세형동검이라는 청동기후기의 標識的 유물이 집중하는 곳, 형식상 이른 시기의 것으로 편년되는 세형동검이 발견되는 곳, 청동의기 내지 異形銅器가 출토하는 것으로 보아 고대 사회의 최고 신분층이 거주했을 것으로 보이는 곳, 남한 청동기문화의 중심지는 충남지역이므로 충남지역의 어느 곳이었던 것으로 본다.
마한은 청동기시대에 기원하여 철기시대까지 존속하였으므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고 마한 전기는 삼한시대 전기이고 기원전 3~1세기의 시기이며 고고학상의 청동기시대 후기(초기철기시대)에 해당하며 석곽묘(석관묘)문화를 영위하였으며 국가 단계는 연맹왕국 단계이다. 마한 후기는 삼한시대 후기로 사실상 삼국시대 전기이며 기원후 1~3세기의 시기이고 고고학상의 完全鐵器時代에 해당하며 주구토광묘문화를 영위하였고 국가 단계는 영역국가 단계이다.
마한 전기에는 진·변한의 유이민 정치세력이 존재하고 있었던 낙동강유역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남한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라고 볼 수 있고 마한 후기에는 낙동강유역의 진·변한 세력의 완전 독립, 한강유역에서의 백제의 등장, 영산강유역에서의 신미제국의 등장 등에 따라 충청, 전북 지방에 대해서만 영향력이 있었고 그 실질적인 강역은 금강 수계와 그 직근 지역에 국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강역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는 삼한시대 전기에는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이 진·변한에게 할양되면서 마한의 강역은 경기·충청·전라지역으로 축소되었다가 삼국시대 전기(삼한시대 후기)에는 금강 수계와 그 직근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북으로는 안성천유역에서 백제와 접경하고, 남으로는 대략 전라남·북도의 경계지역에서 신미제국과 접경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마한 세력이 통시적으로 경기, 충청, 전라지역 모두 아우르고 있었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진한, 변한, 백제, 신미제국 등의 유이민 정치 사회가 형성되기 전에 낙동강유역이나 영산강유역 등에 마한 세력이 미치지 않고 있었다고 말할 수도 없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