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릿말
II. 임진강, 한강 중상류 유역의 묘제 및 그 성격
III. 서울지역의 묘제 편년에 대한 검토
IV. 중서부지방의 묘제 편년
V. 맺음말
요약
원삼국이래 토광목관묘를 묘제로 사용하던 서울지역에 3세기말․4세기초 무렵에 들어서면 단일봉토하에 다수의 개별토광묘가 들어가는 봉토토광묘가 출현한다. 이와 더불어 한성백제토기의 전형적인 기종들인 직구단경호, 직구광견호, 고배등이 흑색마연토기의 형태로 등장하며, 곧이어 회색연질토기로 전개되고 있다. 《晋書》馬韓條등에는 3세기 후반․말 무렵에 對西晋 交涉기록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 무렵에 그러한 대외교섭을 담당할 수 있는 政治體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봉토토광묘 출현과 흑색마연토기 백제기종출현 그리고 몽촌토성과 같은 城郭의 출현 등은 바로 이 정치체의 형성과 관계된 일련의 고고학적 증거들로 보아야 할 것이다. 4세기중엽경에는 봉토토광묘와 같은 집단묘는 보이지 않고 새로운 묘제인 기단식 적석총이 등장한다. 비교적 이른 시기로 보이는 석촌동 3호분의 피장자를 근초고왕으로 비정하고 있는 것이 타당하다면, 기단식 적석총의 출현과 근초고왕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인다. 아무튼 종전의 집단묘로부터 거대한 단독묘인 적석총으로 이행하는 이면에는 강력한 권력을 집중한 개인을 정점으로 하는 정치사회적구조를 가진 정치체의 존재가 있었을 것이다. 한편, 이 무렵 지방의 수장층 또는 유력자들은 석곽묘를 채택하고 있었다. 중서부지역의 묘제는 서울 지역에 비해 단순한데, 대략 3세기에는 주구식 토광목관묘가 쓰였다가 4세기 무렵에는 서울지역의 백제토광목관묘로 대체된다. 이 양자의 묘제는 토광목관묘라는 점에서 공통성이 있으나, 주구와 같은 시설물, 부장토기의 계통 등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원삼국시대의 주구토광묘가 백제토광묘로 계승발전된 것이 아니라, 새로이 서울 지역 백제세력의 묘제가 파급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묘제변천은 백제세력의 마한 통합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중서부 지역에서도 서울지역과 마찬가지로 아직까지 원삼국전기로 비정될 수 있는 분묘유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근 진천 송두리 토광목곽묘에서 전형적인 영남지방의 원삼국 전기 토기가 출토된 적이 있으나, 이는 중서부 지방의 고유한 토기가 아니라 영남지방 원삼국문화가 소백산맥을 넘어 온 예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