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제 제기
Ⅱ. 백제 횡혈식 석실분 분석
Ⅲ. 백제 횡혈식 석실분의 유형과 전개과정
Ⅳ. 맺음말을 대신하여
요약
백제 횡혈식석실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천정가구를 통한 형식분류와 이에 따른 변천과정을 살피는 한편, 그 계보는 고구려 낙랑의 횡혈식고분에서 구해왔다. 그러나 고분 축조에서 천정가구가 가지는 의미 그리고 신라계 유물이 출토되는 한강유역의 횡혈식석실분에 대한 검토 없이는 백제 횡혈식석실분에 대해 객관적 이해를 할 수 없다는 문제 의식하에 본 고찰에서는 일단 한강유역을 포함한 백제 전 영역에서 조사된 원형 봉토의 횡혈식석실분의 구조분석을 통하여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구조 속성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천정가구는 백제 횡혈식석실분에서 가장 유의한 일차적 속성이라기 보다는 현실과 연도를 포함한 석실의 전체 평면형태와 상관과계를 갖고 있어 천정가구와 석실의 전체 평면형태 기준으로 백제 횡혈식석실분을 10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백제 횡혈식석실분 각 유형은 시간적 선후관계 뿐아니라 지역적 특징 및 피장자의 사회내 위치를 반영하는데, 우선 한강유역에 위치한 횡혈식석실분은 한성시기의 횡혈식석실분이 아니며, 둘째는 공주지역의 중심이 되는 고분은 궁륭상 천정의 방형 현실 무덤에서 장방형 현실의 터널천정무덤이며, 궁륭상 천정무덤이 터널천정무덤보다 앞서며, 셋째 부여지역에서는 장방형 현실의 터널천정과 평천정에 이어 평사천정 무덤이 크게 유행하며, 평사천정무덤은 부여 이남의 백제 전영역에서 유행한다. 넷째 왕릉급의 고분군인 공주 송산리 고분군과 부여 능산리 고분군의 비교를 통해보면 무덤의 규모는 부여로 가면서 차츰 작아지며, 현실 평면은 장방화 경향을 띈다. 현실 평면이 장방화 경향의 배경으로는 무녕왕릉의 축조를 계기로 한 중국 남조 고분문화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백제 횡혈식석실분은 부여이남 전라도지역에서 유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라남도지역에서 발견되는 횡혈식석실분은 봉분의 형태, 매장부의 구조, 부장품 등에서 복잡한 양상을 띄어, 전라남도의 횡혈식석실분 모두를 부여시기의 영향을 볼 수 없으며 이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전개과정을 종합해 보면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계보를 고구려의 적석총이나 석실분 또는 낙랑에서 단선적으로 구하는 것은 재고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일본 횡혈식석실분의 계보를 고구려를 통한 한성시기나 부여시기의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영향으로 보는 견해도 재고를 요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