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주거지의 분류
1. 기존의 연구성과 및 문제점
2. 주거지의 분류
III. 원삼국시대 취락 검토
IV.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주거 유적의 편년
1.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주거유형의 상대서열
2.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문화의 전개 과정
V. 맺음말
요약
이 글은 중부지방 원삼국 문화 주거유형의 전개과정을 통하여 편년 체계를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주거유형을 분류하는데 있어 출입구의 유무 및 형태에 의한 분류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주거지의 평면형태의 의한 분류를 시도하였다. 요컨대, 한성백제시대의 육각형 주거지를 원삼국시대 (장)방형 주거지가 점진적으로 발전된 형태로 보았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주거유형을 크게 Ⅰ유형, Ⅱ유형, Ⅲ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취락을 검토하여 각각의 주거유형의 공존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거유형은 Ⅰ유형→Ⅱ유형→Ⅲ유형 순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의 편년안을 마련하였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원삼국시대 토기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주거지 출토유물의 고고학적 맥락이 고려되지 않은 기존의 연구성과를 비판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중부지방 원삼국문화를 크게 3기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주거의 양상과 출토유물에 따라 다시 7기로 세분하였다. 또한 중부지방 내에서도 원삼국문화는 이른 시기부터 한강유역권과 영동지방권이 지역차를 보이고 있으나, 필자 편년의 중기 중반대 이후에 지역차가 해소되고 있으며, 남한강유역은 두 지역의 문화를 공유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