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호남지역 마한주거지의 발견이 급증하고 있지만 고고학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는 분포와 밀도, 편년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의 목적은 호남지역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마한 주거지의 분포를 논하고, 주거지의 공간적 배치와 출토 토기의 분석에 기초하여 마한주거지의 편년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호남지역 마한주거지를 전북 서해안, 영산강 상류, 영산강 하류, 보성강유역, 섬진강 상류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6세기 초에 해당하는 호남지역 마한주거지들은 크게 4기로 나눌 수 있고, 전북 서해안의 주거지들은 다른 지역의 것에 비해 일찍 폐기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전북 서해안의 주거지들의 하한은 4세기 중반이후로 떨어지지 않지만 다른 지역주거지의 하한은 기원후 6세기 초엽까지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전북지역의 마한세력이 전남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에 백제에 편입되었다는 역사적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주거지의 구조와 형태, 출토유물에 있어서 서해안의 평야지대와 동부 산악지대는 뚜렷한 공간적 차이를 보이고 있어 당시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시사하고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