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한국 고대목탑 낙수받이 고찰

  • 분류 고고·미술 > 건축
  • 권호수 제42권 제2호
  • 저자 탁경백
  • 발행일 2009년 6월
  • 게재지 문화재
  • 발행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목차

서론
사례검토
1. 고구려
2. 국내 목탑지 외 건물지
3. 중국
4. 일본
남한 목탑지 낙수받이
1. 발굴조사 현황
2. 백제 목탑지
3. 신라~통일신라 목탑지
4. 구조와 특성
결론

요약

목탑의 기단부는 기단토와 이를 둘러싸는 외장, 계단, 그리고 기타 시설물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만들어진 시기, 장소, 조영세력에 따라 그 외형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한 백제, 신라~통일신라의 목탑지에서는 고구려의 목탑지에서 확인된 물받이시설, 중국 건축물의 산수, 일본 목탑지에서 확인된 이누바시리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서까래는 기단선 이상으로 내밀어져야 하며 이 때 떨어지는 낙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시설들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이 시설을 낙수받이로 명명하였다. 기 발굴조사된 5~7세기의 한국, 중국, 일본 목탑지 검토를 통해 6세기에 조영된 백제 목탑지와 7세기에 조영된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에서 낙수받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의 경우 6세기에 조영된 군수리사지,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으며, 왕흥사지 목탑지의 경우 기단토의 굴광 범위가 당초 백제시대의 기단으로 보이는 부분까지 실시되어 일본 초기 목탑지와 유사하다. 목탑지 조영에는 고려척이 사용되었고 서까래내밀기를 검토하기 위해 평면을 복원한 결과 기단부 길이:일층탑신길이:어칸:퇴간의 비례는 군수리사지와 왕흥사지 목탑지가 4.9:2.7:1:0.9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왕흥사지 목탑지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군수리사지 목탑지와 왕흥사지 목탑지의 주망관계는 어칸 2.49m, 퇴칸 2.14m로 동일하게 나타나 당시 목탑 조영에 있어서 일정한 척도 적용 및 계획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7세기에 들어서면서 용정리사지, 제석사지, 미륵사지 등 전사기는 다른 대형 기단부를 가진 목탑지가 출현하면서 더 이상 낙수받이가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의 경우 영묘사지, 황룡사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묘사지 목탑지의 경우 폭 1.8m 할석렬이, 황룡사지 목탑지는 제2탑구석의 범위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는 하층기단 지대석의 설치 형상이 능상리사지 목탑지와 유사함을 검토하여 낙수받이임을 확인하였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는 그 조영 자체가 7세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어 초기에는 비교적 목탑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표현하였지만 사천왕사지 목탑지 조영 시점을 경계로 이러한 낙수받이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건축 충남지역의 백제요지(忠南地域의 百濟窯址)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심정보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시대의 요지연구  
  • 고고·미술 > 건축 전북 고창 운곡리·익산 신용리 요지(全北 高敞 雲谷里·益山 新龍里 窯址)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전영래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시대의 요지연구  
  • 고고·미술 > 건축 미륵사지석탑 평면형식의 시대위치(彌勒寺址石塔 平面形式의 時代位置)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김덕문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37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미륵사지석탑 붕괴상태 고찰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김덕문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38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백제 지하저장시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검토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신종국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38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한국 고대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관한 고찰 - 백제 사지를 중심으로 -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정자영 탁경백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40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백제양식석탑의 형성과 전개의 시발점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전지혜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42권 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미륵사지서탑 축조의 구조 원리에 관한 기초 연구 -6~7세기 전반 목탑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조은경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42권 제2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6~8세기 백제·신라건축의 기초부 비교연구-사찰유적을 중심으로(6~8世紀 百濟∙新羅建築의 基礎部 比較硏究 -寺刹遺蹟을 中心으로)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한욱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42권 제2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분묘 백제 후기 능묘와 능원의 특성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김용성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64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몽촌토성출토 골제 소찰갑 보존처리(夢村土城出土 骨製 小札甲 保存處理)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김병호 외 2인  
    • 발간년도 
    • 게제지보존과학연구 제7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전남 승주 대곡리 요지출토 토기편의 분석(全南 昇州 大谷里 窯址出土 土器片의 分析)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최몽룡 외 2인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시대의 요지연구  
  • 고고·미술 > 유물 백제시대 흑색마연토기의 산출과 재현 연구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최석원 외 4인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34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연가에 대하여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김용민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35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형식과 편년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조원창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42권 제3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서산 부장리유적 출토 이식(耳飾)의 제작기법 및 위세품적 성격에 대한 고찰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조현경 외 2인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43권 3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한성기 취사용기에 대한 검토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를 중심으로-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정수옥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44권 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한성백제기 완의 제작기법과 그 변천-서울경기권 출토유물을 중심으로-(漢城百濟期 盌의 製作技法과 그 變遷-서울경기권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한지선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재 제44권 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충북 진천지역 백제토기 요지군(忠北 鎭川地域 百濟土器 窯址群)
    • 발행처국립문화재연구소 
    • 저자최병현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시대의 요지연구  

'탁경백'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건축 백제 사찰 조영계획 고찰
    • 발행처한국건축역사학회 
    • 저자탁경백 
    • 발간년도 
    • 게제지건축역사연구 제20권 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백제 비구니사찰(尼寺)에 대한 시론
    • 발행처한국건축역사학회 
    • 저자탁경백 
    • 발간년도 
    • 게제지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2-11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