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경기 남부 마한계 주거지와 공간적 범위
Ⅲ. 마한계 주거지의 변천과 편년
Ⅳ. 경기 남부의 사주식 주거지와 육각형 주거지
Ⅴ. 맺음말
요약
이 글은 경기 남부 마한계 주거지의 시·공간적 범위와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마한계 주거지로 알려진 사주식 주거지 이외에 어떤 특징의 비사주식 주거지를 마한계 주거지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점토를 사용하여 만든 C1식 구들과 기반토를 이용하여 만든 B2식 구들, C2식 구들 등이 마한계 주거지 요소로 파악된다. 또한 이러한 요소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해 볼 때, 탄천, 경안천유역은 중도식 주거지 분포권이지만, 이를 제외한 경기 남부는 마한계 주거지의 분포 지역으로 판단된다.
마한계 주거지의 변천 과정은 단위 취락별 노지와 구들 세부형식의 공존 관계와 중복 관계를 검토한 결과 크게 5단계로 구분된다. 큰 흐름에서 노지(1단계)→점토식 ‘|’자형 외줄 구들(2단계)→점토식 ‘ㄱ’자형 외줄 구들(3단계)→기반토식 ‘|’자형 외줄 구들(4단계)→기반토식 ‘ㄱ’자형 외줄 구들(5단계) 등의 발생순서가 관찰된다. 따라서 기원전 1세기 전반에 출현한 마한계 주거지는 5세기 후반까지 취사, 난방 시설의 변화를 보이며 전개되지만, 오산천 일부 지역에서는 7세기 후반까지 지속된 양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단계 설정을 고려할 때, 사주식 주거지는 3세기 중엽부터 4세기 후엽까지 보이지만, 앞으로 자료가 증가함에 따라 출현 시기가 2세기 중반까지 소급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경기 남부의 육각형 주거지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탄천, 경안천유역의 육각형 주거지(A유형)는 중도식 주거지에서 계기적 변화를 통해 원삼국 후기에 출현한 것과는 달리 마한계 주거지 분포 지역의 육각형 주거지(B유형)는 탄천, 경안천 일대의 육각형 주거지가 주변 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B유형 육각형 주거지의 출현은 백제 중앙의 직접적인 통제와 관련되기 보다는 마한 집단이 자발적으로 백제 중앙의 육각형 주거지를 모방한 결과로 생각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