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축조기법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제기
Ⅲ. 대상유적별 축조기법 검토
Ⅳ. 축조기법의 특징과 분류
Ⅴ. 축조기법의 다양성과 의미
Ⅵ. 맺음말
요약
토성 축조기법에 대한 연구는 版築技法 일변도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한성백제기 토성 역시 여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최근 판축기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자료가 다수 확보되었다. 특히 논의의 주요 대상이 한성백제기에 해당함에 따라, 축조기법을 확인한 10개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축조기법의 검토는 입지와 규모, 기저부 조성, 축조방식, 내부시설, 증축 및 보수를 통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시기임에도 다양한 축조기법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축조공정이 정반대인 양자가 확인되어, 이를 기준으로 A군(성토기법), B군(판축기법)으로 분류하였다. A군의 성토기법은 바깥쪽에서 중심을 향하는 축조방식, 복잡한 토층선, 다양한 흙의 가공 등을 특징으로 한다. 판축기법에 비해 기술적으로 고식이며 축조시기 또한 이른 편이다. 이러한 A군의 특징은 5세기 이후 등장하는 한반도 남부지역의 고총고분, 제방의 축조기법과 일정한 유사성을 갖고 있어 주목된다. B군의 판축기법은 중심토루 → 외피토루의 방식이다. 토층은 비교적 수평상이며, 목주와 판재 등 구조물의 흔적이 뚜렷하다. 또한 판축구조물의 설치 → 해체를 반복하면서 版塊가 입체적으로 조합되는 점이 일관된다. 이 점은 부여 부소산성 등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판축기법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이에 주목하여 두 가지(B1식, B2식)로 세분하였다. 그리고 양자가 동시기에 공존하는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최근에는 원삼국~한성백제기 물질문화의 지역성·다양성이 부각되는 경향이다. 흥미로운 점은 ‘재지적 물질문화 → 백제물질문화’로의 변화과정이 성토기법(A군) → 판축기법(B군)과 연동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성백제 1기의 ‘지방’에서는 지역집단 주도의 축조 가능성을, 한성백제 2기에는 판축기법 위주로 변화함을 근거로 백제 중앙의 계획 하에 축조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