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언
II. 옹관고분의 분류와 편년
1. 옹관의 형식분류
2. 옹관고분의 분류
3. 각 유형별 옹관고분과 편년
III. 옹관고분의 변천과정
IV. 옹관고분 축조세력의 성장배경
V. 결어
요약
영산강유역 甕棺古墳을 분류하여 편년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甕棺古墳의 변천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甕棺古墳 築造勢力의 성장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甕棺의 제속성 중 형식분류에 가장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器形, 鋸齒文의 위치, 口脣部, 底部의 形態 등 모두 4개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대상으로 서로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甕棺 1형식, 甕棺 2형식, 甕棺 3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1형식에서 3형식으로의 형식변화도 인정된다. 2. 甕棺古墳은 매장형태에 따라 ①~③까지 3개 속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墳丘의 형태에 따라서 역시 a~c까지 3개 속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속성은 서로 상관하며 나아가 甕棺의 형식과도 밀접하게 상관하므로 Ⅰ유형→Ⅱ유형→Ⅲ유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Ⅰ유형의 연대는 3세기 후반~4세기 전반경으로, Ⅱ유형은 4세기 전반경~5세기 전반경으로, 그리고 Ⅲ유형은 5세기 전반~5세기 말로 본다. 3. Ⅰ유형은 직경 10m정도의 圓形墳丘가 기본적인 형태이나 Ⅱ유형부터는 20m이하인 것과 20m이상인 것으로 되고 그 추세는 Ⅲ유형까지 계속된다. 또한 Ⅲ유형의 大形墳과 小形墳의 특수유물과 土器壺의 부장차이를 살펴본 결과 차이의 경향성이 인정된다. 이는 계층분화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옹관고분 Ⅲ유형에서는 3계층이 인정된다. 4. 甕棺古墳 Ⅲ유형단계가 되면 大形古墳이 羅州 潘南地域으로 밀집되는 것으로 보아 地域的인 통합과정을 거쳐 영산강유역과 西南海岸을 통괄하는 광역적인 勢力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甕棺古墳 築造勢力의 성장에는 영산강유역의 농경지를 기반으로 하는 농업생산력과 함께 대외교류활동이 주된 배경이 된 것이다. 특히 대외교류활동에 대한 흔적은 각지의 甕棺古墳에서 확인되기 때문에 그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5. 甕棺古墳 築造勢力과 百濟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느슨한 지배․피지배의 관계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나 甕棺古墳 築造勢力의 성장과정과 모순된다는 점에서 이를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양자의 관계에 대해서는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