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현재 한국 고고학과 고대사뿐만 아니라 고대 한일관계사에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영산강유역 고분의 성격과 변화에 대한 기존연구의 문제점 검토를 토대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에 있다. 본고의 검토내용은 고총분구 및 전용옹관의 등장과 소멸, 횡혈식석실의 계통과 유형 및 九州系 횡혈식석실 및 前方後圓形 古墳의 수용주체, 백제석실로의 전환시기 등이다. 영산강유역의 특징적 고고자료인 전용옹관의 등장시기는 선행하거나 또는 병존관계에 있는 목관묘에서 출토된 판상철부 및 낙동강 하구에서 출토된 영산강유역계 토기 등을 통한 교차편년 결과, 4세기 전반이었음이 확인되었다. 방형 또는 원형의 高墳丘 옹관묘는 5세기 전반에 등장하여 6세기 전반까지 유행하였다. 5세기 말에 옹관고분 이외에 횡혈식석실을 매장시설로 하는 원형前方後圓形 분구의 고분이 축조되었다. 횡혈식석실은 백제계, 九州系, 백제계와 九州系의 절충형 등 매우 다양하며, 옹관고분의 외곽지역에 분포하면서 옹관고분과 병존하였다. 매장시설이 九州系 석실인 고분은 입지분형분구제사후장연도와 묘도의 유물 부장 등이 九州地域의 매장습속과 유사한 점은 이들 九州系 석실의 피장자가 왜인이었음일 보여주었다. 영산강유역에 정주한 왜인은 재지세력에 포섭되거나 외곽에 있으면서 선진문물을 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백제중앙정권은 재지세력과 정주 왜인들에게 위세품을 분여하여 그들을 통치권내로 흡수하고자 하였는데, 재지세력을 우위에 두고, 그 아래에 정주 왜인을 두는 차등정책을 실시하였음이 이 곳의 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위신재의 구성에서 확인되었다. 6세기 중엽이 되면, 옹관고분, 前方後圓形 古墳이 사라지고 전형적인 백제 석실이 조영되는 등 질적 변화가 나타나지만, 九州系 石室의 영향으로 이 곳에서 만들어진 창출형 석실이 축조되고, 倭의 매장요소들이 나타나는 현상은 6세기 중엽 이후 백제가 이 지역을 직접 지배하였더라도 재지수장층이 완전히 와해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