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고분문화는 묘제의 다양성과 함께 국가 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묘제가 橫穴式 石室墳으로 통일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백제 고분문화 이해는 이 횡혈식 석실분의 전개현황의 이해와 직결되기도 한다. 본고는 백제 초기 석실분의 존재양상에 대한 적극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기왕의 백제 한성기 석실분 인식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지금까지 조사된 자료를 검토하여 백제사회에 이 석실분이 도입되어 정착되는 초기적 환경 및 이 묘제의 특성을 새롭게 조명코자 하였다.
백제 횡혈식 석실분은 4세기 후반 경에 등장하고, 웅진천도이후 백제묘제의 주류가 되지만 어떻게 등장하고 전개되었는가는 아직 통일된 견해를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다. 그러나 한성기 횡혈식 석실분 자료는 도읍지역인 한강유역을 비롯하여 금강유역은 물론 멀리 영산강 유역까지 광역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지방사회에 유존된 석실분은 석실분 단일묘제보다는 기존의 토착묘제에 포함된 것이 대부분이고, 묘제 속성에 토착적 전통묘제의 요소가 많이 반영되어 있어 수용이 정확한 정보와 축조기술의 담보가 전제된 것이 아닌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도 알 수 있다. 이는 석실분 수용의 초기적 정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인데 이들 각 지역에 수용된 석실분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의 문제가 남는다. 그런데 한성기 석실분의 존재현황에서 가장 큰 특징은 무덤간에 구조속성에서 통일성 결여를 꼽을 수 있다. 이는 횡혈식 석실분 단일묘제만 있는 유적에서 오히려 크게 나타나며, 이는 이 묘제가 초기형으로 정립되기 이전의 현황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반면에 단일 유적내의 통일성 결여와는 달리 지역간에는 상사성이 크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특히 도읍지역인 가락동, 방이동의 석실분과 지방의 석실분과는 상호 비교가 가능한 것들이 많다. 이로 보면 백제 석실분의 전개는 백제의 중앙인 도읍지역 석실분이 중심에 있었고 이를 지방사회에서 수용한 결과라는 결론이 가능하다.
백제 횡혈식 석실분은 4세기경에 백제사회에 유입되었고, 그것이 도읍지역에서는 가락동, 방이동과 같은 사례로 남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지방사회로 파급되는데 파급자체가 지방사회에서 자발적 수용이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전통묘제가 사용되던 환경에서 새로운 문물로 횡혈식 석실분이란 개념이 알려지거나, 혹은 아직 정형화되지 않은, 혹은 정형화된 묘제의 목격과 이의 모방 축조로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석실분의 전개환경이 한성기 백제 석실분의 존재양상에 다양성을 크게 부각되게 한 배경이기도 하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