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전남 동부 지역의 5~6세기 가야 문화
III. 백제의 간접지배와 고흥 안동 고분
IV. 백제의 직접지배
V. 맺음말
요약
전남 동부 지역은 4~5세기 전반기에 영산강 유역이나 경남 서부 지역과 달리 독자적인 묘제나 토기 문화가 성립되지 못하였다. 이는 전남 동부 지역이 5세기 전반기까지 정치․사회적으로 성숙되지 못하였고, 영산강 유역과 경남 서부 지역의 가야계 문화 사이의 점이지대로 존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점에서 전남 동부 지역은 독자적인 지역 연맹체를 형성할 만한 주체적인 역량을 갖추지 못하여 5세기 후반 이후에 가야와 백제의 영향력하에 놓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소가야계 묘제와 토기가 전남 동부 지역에 확산되는 5세기 후엽에는 한시적으로 소가야 연맹체에 속했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자료로 보면 전남 동부 지역에서 대가야계 토기의 출현은 5세기 말경이다. 전남 동부 지역은 임나사현으로 비정되고 있는데, 그 중심지로는 여수, 순천, 광양의 대가야 토기 출토 고분 유적을 관련시킬 수 있다. 여수, 순천, 광양 지역은 대가야 토기와 고분이 출토되는 지역 거점의 수장층이 고령의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맺은 대가야 연맹체의 일부로 보인다.
5세기 후엽으로 편년되는 고흥 안동 고분은 묘제뿐만 아니라 입지, 출토 유물에 있어서도 왜계 요소가 많이 보이고 있지만, 위세품으로 보면 백제와 무관하지 않다. 고흥반도에는 가야 관련 유물이나 고분이 거의 확인되고 있지 않아 임나사현의 고지로 추정되는 여수․순천․광양 세력과는 별개의 집단으로 보이기에 백제의 간접지배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지역이다. 백제계 위세품이 확인된 안동 고분은 백제중앙정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왜인으로서 백제에 정치․군사적으로 협조했다고 볼 수 있다.
백제 산성과 고분 출토 유물로 보면 백제의 전남 동부 지역의 영역화는 웅진기 후기로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영산강 유역에서는 백제 산성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근의 고고학적 자료를 미루어 보면 백제의 주력 세력은 섬진강 유역으로 진출하여 직접지배하고, 그 이전까지 간접지배를 하였던 영산강 유역으로 차츰 영향력을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의 영역화 시기에 가야 토기와 가야 묘제를 사용하던 재지 세력은 백제에 협조적이었다고 판단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