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경기남부, 충청지역에서 확인되는 원저단경호와 심발형토기가 조합되어 부장된 토광묘, 주구토광묘는 중서부지역 분묘 연구에 있어서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천안 청당동유적의 연대관에 근거하여 원삼국시대 대표적인 분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청당동유적의 연대는 당시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부산 노포동유적과 같은 일부 영남지역 분묘와의 교차연대에 따라 설정된 것으로 이후 많은 자료가 축적되어 재고할 여건이 마련되어 가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 원저단경호 출토 분묘에 대해 나름의 연대와 변화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오산수청동유적을 중심으로 분묘의 구조와 유물조합상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고, 소문단경호와 심발형토기의 형식분류를 중심으로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교차편년을 행하고 그에 따른 중서부지역에 있어서 목관묘의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기존에 원삼국시대에서 삼국시대 전기에 해당된다고 설정되었던 유물부장부를 가지는 토광묘는 목관묘이고, 그 연대는 3세기말 이후로 편년됨을 확인하였다. 백제의 중심으로 생각되는 서울지역에서의 유례가 없어 명확하지는 않으나, 서울을 제외한 경기 남부와 충청 북부 일대에 있어서는 대동소이한 흐름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서울 역시 예외는 아니었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이 분묘들이 삼국시대 백제한성기 이른시기의 대표적인 분묘로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기존에 4세기대로 편년되어 한성기의 분묘로 생각되었던 백제토기가 출토되는 석촌동 분묘군은 백제토기의 편년 검토를 통해 그 연대는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