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영산강유역 횡혈식석실의 분류 및 변천
III. 백제 횡혈식석실의 확산 및 지역성 유지
1. 석실의 정형화
2. 백제 횡혈식석실의 확산과 지역성의 유지
IV. 맺음말
요약
이 글에서는 중앙집권적 통치체제 및 지방 지배체제가 확립된 백제 사비기의 정형화된 중앙 묘제가 확산되면서도 지역에 따라 지역성이 유지되는 현상을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6세기 중엽 이후 백제 왕권에 의해 구축된 통치체제와 신분 질서가 반영되면서 영산강유역의 횡혈식석실도 양식의 정형화, 규모의 규격화가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영산강유역에서는 이러한 백제양식 석실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입지, 석실구조, 장제 등에서 지역적인 전통이 유지된 복암리유형 등 지역적인 색채가 강한 석실이 여전히 조영된다. 이러한 지역적인 전통은 지역 세력의 유지를 시사한다.
석실 구조와 규두대도 등 부장유물을 통해 볼 때 그러한 세력 유지의 배경에는 일본열도와의 지속적인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반남 고분군 집단이 통괄하던 영산강유역 중핵지역에 복암리유형의 석실이 분포하는 점은 초기대형석실 단계 이후 반남지역 집단을 대신하여 이 지역의 유력 집단으로 등장한 복암리 집단이 여전히 세력을 유지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영산강유역 북쪽의 함평, 장성 일대에서는 좀더 백제적인 석실이 조영되는데, 이러한 외연지역의 석실에서도 일부 지역적인 양상이 보인다. 그리고 탐진강유역에서는 사비기까지도 우편연도의 석실이 지속되어 백제 왕권과의 관계가 영산강유역보다 더 멀었음을 시사한다.
복암리유형과 외연지역의 석실에서 보이는 이러한 지역성은 백제 중앙의 조묘공인집단이 관여하지 않고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석실을 축조하였음을 시사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