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분석 단위의 설정
Ⅲ. 묘제의 전개 및 단계별 정치체의 성장과정
1. 複合梯形墳段階
2. 高塚段階
3. 百濟埴石室墳段階
요약
이 글에서는 3세기 이후 영산강유역 政治體의 성장과 변동 과정을 지역사회 내부의 구조와 상호 관계 및 백제 왕권, 가야제국, 왜라는 주변 정치체와의 교류를 고려하면서 묘제를 기준으로 3단계(複合梯形墳段階, 高塚段階, 石室墳段階)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5세기 중엽까지 영산강유역은 계층화가 뚜렷하지 않은 複合梯形墳이 조영되었는데, 이러한 분형을 채택하지 않은 백제 왕권을 중심으로 한 중서부지역과는 집단 정체성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이 있었음을 뜻한다. 그러나 이 단계에 직구원저호 등 백제 요소의 유물도 보이고 있으므로 백제 왕권과의 정치적인 대결 구도를 상정하기는 어렵다.
5세기 중엽 이후에는 典型專用甕棺을 매장시설로 사용한 고총고분을 조영한 潘南地域集團과 같이 강력한 정치체가 형성되어 영산강유역 中核地域이라는 광역적인 단위를 단일 지역정치체가 우월적으로 지배하게 된다. 백제와는 威勢品을 매개로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중핵지역 공동체가 영산강유역 전체를 정치적으로 아울렀다고 보기에는 묘제나 토기양식의 분포범위에서 어려운 점이 있다.
5세기 후엽~6세기 전반은 前方後圓形古墳, 初期橫穴式石室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백제의 혼란한 정세로 인하여 영산강유역에 백제와 왜 등을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세력이 성장하였다. 그러나 어느 집단도 영산강유역 전체를 아우를 수 있을 정도로 세력화하지는 못하였다. 이 시기 백제 왕권은 금동신발, 금동관 등 위세품을 매개로 하는 정치적 관계를 복수의 지역집단과 맺어 현지세력간의 견제를 도모한 것으로 판단된다.
6세기 중엽 이후 영산강유역의 지배집단은 銀製冠飾이 상징하는 바와 같이 백제의 관등체계에 편입된다. 이로써 독자적인 지역정치체는 소멸하고 명실상부한 백제의 영역으로 편입된다. 그러나 현지의 유력자는 지역색이 있는 횡혈식석실의 조영, 圭頭大刀 등 특정 물품을 통한 倭와의 교섭 주도권 확보 등을 통해 여전히 힘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