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중원지역 고분유적의 시대·지역별 양상
1. 원삼국시대 고분
2. 백제 고분
3. 고구려 고분
4. 신라 고분
III. 중원지역 고분문화의 전개양상
IV. 맺음말
요약
본고에서는 원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까지 주로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중원지역의 고분유적에 대하여 시대ㆍ지역별 양상 및 고분문화의 전개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원지역의 원삼국시대 고분은 토광묘 문화권과 적석분구묘 문화권으로 구분되며, 제천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마한의 토광묘 문화권에 해당하고 있다. 중원지역의 원삼국시대 토광묘의 특징은 묘광의 장폭비가 3 : 1이상으로 세장하며, 매장시설로 목관을 사용한 목관묘가 일반적이며, 목곽묘는 소수에 불과하다. 그리고 영남지역에서와 같이 목관묘 단계에서 목곽묘 단계로 뚜렷이 구분되며 이행하는 것이 아니라 목관묘와 목곽묘의 구분은 피장자의 위계에 따라 구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주구토광묘와 합장묘의 성행을 들 수 있다.
백제 고분은 현재까지는 미호천유역의 청주ㆍ청원지역에서만 확인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묘제는 토광묘, 석곽묘, 횡혈식석실분으로 구분되는데, 토광묘의 조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석곽묘의 조영이 일반화되지 않고 그 구조 또한 정형화되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원삼국시대 토광묘와 백제 토광묘를 비교하면 주구토광묘의 소멸과 묘광 장단비의 축소, 유물부장양상의 변화 등이 보이고 있다. 횡혈식석실분은 토광묘에 이어 5세기 중엽 경에 지역세력 내의 지배층의 묘제로 수용되면서 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구려 고분은 현재까지 충주 두정리유적이 유일하다. 묘제는 횡혈식석실분이며, 백제 및 신라고분과 비교하여 입지 및 축조방법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신라 고분은 각 지역별로 신라 진출의 시간적 선후와 중심거점지역과 주변지역이라는 지배방식의 차이에 따라 묘제와 출토유물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중원지역 신라고분의 전개양상은 3단계로 구분된다. Ⅰ기(5세기 후반~6세기 전반)는 세장방형의 횡구식석곽묘가 주류이고, 토기는 중기의 1단투창고배와 대부장경호를 특징으로 한다. Ⅱ기(6세기 전반~7세기 전반)는 횡혈식석실분과 석곽묘가 조영되고, 유물은 후기의 단각고배와 부가구연대부장경호, 누암리식 과대금구를 특징으로 한다. Ⅲ기는 7세기 후반 이후인 통일신라시기에 해당하며, 대규모 고분군이 조영되지 않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묘제의 경우 석곽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석곽의 규모도 소형석곽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유물은 종장연속마제형문과 종장연속점열문이 시문된 합과 대부완, 그리고 대부장경병 등의 통일신라토기와 당식과대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