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영산강유역 백제 사비기 이후 석실묘의 형식분류와 편년
Ⅲ. 영산강유역 백제 사비기 이후 석실묘의 형식변천과 전개과정
Ⅳ. 맺음말
요약
본고는 영산강유역에서 백제 사비기부터 고려시대까지 축조되었던 석실묘의 전개과정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시기 석실묘들을 형식분류하고 출토유물을 분석하여 그 변화 과정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백제 사비기 이후의 횡혈식 석실묘는 횡혈Ⅰ·Ⅱa식 → 횡혈Ⅱb·Ⅲ·Ⅳ식 → 횡혈Ⅴa·Ⅴb식 → 횡혈Ⅱc·Ⅴc식 순으로 변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백제 사비기의 횡혈식 석실묘는 6세기 중엽으로 편년되는 횡혈Ⅰ식과 횡혈Ⅱa식이 영산강 중류지역인 나주 복암리 일대에 가장 먼저 등장하였다. 그리고 횡혈Ⅱc식과 횡혈Ⅴc식 석실묘는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유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횡구식 석실묘 역시 6세기 중엽경에 나주 복암리 일대에 횡구Ⅰ식이 가장 먼저 등장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주로 횡구Ⅱ식이 축조되었고, 고려시대에는 횡구Ⅲ식이 유행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산강유역의 6세기 중엽 이후에 해당하는 석실묘들의 분포를 보면, 백제 사비기에는 나주를 중심으로 하는영산강 중류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지만 통일신라시대에는 광주를 중심으로 하는 영산강 상류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영산강유역의 석실묘 분포 양상의 차이는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 광주에 9주 5소경가운데 하나인 무진주가 설치된 것과 관련될 것이다. 즉, 영산강 중류의 나주 복암리 일대에 있었던 행정 중심지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영산강 상류의 광주지역으로 이동한 것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