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전북지역에서 조사된 백제시대 횡혈식석실분에 대한 유형분류를 통해 지역적 수용과 전개과 정을 살펴보고, 출토된 유물을 통해 시간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전북지역 백제시대 횡혈식석실분은 초기유형과 웅진유형, 사비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초기유형 은 축조석재, 연도위치, 평면형태 및 천장형태가 웅진유형처럼 정형화 되기 이전 단계의 석실분을 말 한다. 5세기 중엽을 전후로 군산 산월리와 익산 금성리 유적에서 처음 수용되었으며, 마한 전통의 분 구묘가 확인되는 전주·완주 일원에서는 6세기 초엽에 초기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웅진유형은 웅진 1 식·웅진 2식·웅진 3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웅진유형의 평면형태는 방형 혹은 장방형이며, 축조석재 는 할석을 이용하였으며, 연도는 좌·우편재이다. 5세기 후엽에서 6세기 초엽경 익산 입점리와 웅포리 에서 웅진 1식이 등장하고 정읍·완주·남원지역에서는 웅진 2식이 6세기 초·중엽경에 나타난다. 이 후 웅진 3식으로 변화되는데 웅진 3식의 축조석재는 할석에서 판석 혹은 판상석으로 바뀌고, 연도는 개구식에서 문틀식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사비유형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분포범위는 웅진 2식 분포범위와 대부분 일치한다. 사비유형은 백제가 사비천도 이후에 나타나는 횡혈식석실분이며, 축조석 재는 기존의 할석재에서 판석 혹은 판상석으로 바뀌며, 연도 형태는 개구식에서 문틀식으로 변화한다. 또한 연도 위치는 좌·우편재에서 중앙으로 변화된다. 전북지역에서는 사비 2식과 3식·5식이 현재까지 확인되고 있다. 사비 2·3식은 주로 백제 말기 수도로 인식되는 익산 금마 일원과 백제 중방성지역 인 정읍 고부 일원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유물은 초기유형에서 대부분의 백제토기 기종이 확인되며, 부장유물도 상당히 많은 수가 부장된다. 또한, 토기와 함께 환두대도, 철도 등의 무기류, 철겸, 철도자 등의 농공구류, 이외 마구류의 부장도 확 인되고 있다. 웅진유형에서는 초기유형에 비해 토기 기종이 삼족토기, 병형토기, 개배, 직구호로 단순 화되며, 사비유형에서는 일부 착장유물인 금동제이식과 함께 소량의 토기가 출토되고 있다. 전북지역에서 백제시대 횡혈식석실분의 등장시기는 5세기 중엽경 금강과 만경강유역의 군산 산월 리와 익산 금성리 유적을 중심으로 수용된다. 이후 6세기 초·중엽경 전북지역 전역으로 확대되어 나타난다. 사비천도 이후에는 지방 거점을 중심으로 사비유형이 유행한 것으로 판단된다.(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