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왕성과 공산성
III. 웅진성의 축조시기
IV. 웅진도성의 범위
V. 맺음말
요약
웅진도성을 중심으로 王城, 都城, 王都 등과 같은 도성 연구의 핵심적인 용어들에 대한 개념을 추출하고, 아울러 웅진도성을 둘러싼 여러 논의들을 새로운 방향에서 검토해 보았다. 왕성이란 최고 권력자인 왕이 상시 거주하는 공간으로 백제의 慰禮城·熊津城 신라의 月城 등이 그것이다. 웅진성은 현재의 公山城이며, 사비시대의 왕성은 현재의 扶蘇山城임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공산성과 부소산성을 통해 당시 백제의 왕성이 나지막한 구릉 위에 자리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으로 인정된다면 논란이 되고 있는 위례성도 이러한 입지조건을 갖춘 성곽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또한, 웅진시대 왕성이 공산성이 분명하다면 자연히 논란이 되고 있는 당시의 왕궁도 공산성 안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도성이란 도읍을 에워싸면서 축조된 성곽이다. 따라서 왕성과 도성은 內城 外郭의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 점에서 백제시대에 도성의 개념에 적합한 것은 사비도성뿐이다. 다시 말해서 한성시대 위례성의 위치를 확인 하는 것은 왕성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지 도성의 위치 비정이 아니다. 그런데, 사비시대 웅진성이 北方城으로 편제된 다음의 행정구역을 보면 북방성의 직할구역이 현재 남아 있는 산성의 분포 범위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물론, 웅진시대 왕성의 범위가 그대로 북방성으로 편제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또 다른 설명이 있어야겠지만 산성의 분포 범위보다 북방성 직할구역이 더 넓은 것은 도성 바깥쪽으로 王畿라는 것이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좁은 의미의 웅진도성은 왕도 주변의 산성의 분포 범위까지라고 하겠지만 좀 더 넓게 보면 산성 바깥쪽으로 자리하는 王畿로 볼 수 있는 지역까지를 포함한 용어가 곧 웅진도성인 셈이다. 그런 점에서 넓은 의미의 웅진도성은 곧 북방성의 직할지가 되는 셈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