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지역 백제토성 중 한성시대 축조된 것은 정북동 토성, 웅지시대는 공산성 외성 5지구, 사비시대에는 부소산성, 동나성 등이 있다. 백제토성의 시기별 변천양상을 살펴보면 한성시대에는 일반적으로 기단석축이 없는 토루가 축조되다가 한성시대 후반기 기단석축 혹은 외벽석축이 있는 토루가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비시대 성곽 양상에 대해 한원 백제조와 괄지지 기록을 통해 백제왕성은 부소산성을 가리키며 이 토루 일부구간에는 하단에 기단석축 혹은 외벽석축을 가진 성벽이 존재했을 것이다.
충청지역 백제토성의 대략적 축조양상을 평지와 경사면으로 나누어 복원해 볼 수 있다. 평지에서는 먼저 해자를 판 뒤 여기서 나온 점토와 사질토를 축조 재료로 이용하였다. 이때 체성 폭보다 좀더 넓게 또는 폭만큼 점토를 다져 일정한 두께의 기반다짐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중심토루가 조성될 범위에 일정한 너비로 영정주들을 배열한 뒤 점토와 사질토를 교대로 판축하여 견고하게 만든다. 다시 내측보완토루가 조성될 범위의 외측에 영정주들을 배열한 뒤 이미 조성된 중심토루를 지지벽으로 하여 비교적 덜 견고하게 점토와 사질토를 교대로 판축해 내측보완토루를 조성한다. 이때 내측보완토루의 외벽하단부에는 강돌부석시설을 석축하여 토루를 보완한다. 다음으로 외측보완토루가 조성될 범위의 위측에 영정주들을 배열한 뒤 역시 중심토루를 지지벽으로 하여 점토와 사질토를 교대로 해 외측보완토루를 판축하였는데 중심토루와 내측보완토루에 비해 견고하지 못하며 외벽하단부에는 강돌열을 깔아 보완한다. 이러한 석조열로는 정북동토성, 부소산성 일부구간이 대표적이다.
경사면에서는 경사면을 L자형으로 삭토하고 외호를 파면서 나온 흙으로 토루를 축조한다. 이때 산경사면은 L자형으로 삭토하거나 경사면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점질토로 일정한 두께의 기반다짐층을 만든다. 다음으로 성벽장축방향으로 구를 파서 돌린 뒤 구내에 일정 간격으로 영정주를 배열한다. 이때 중심토루가 조성될 범위의 안팎에 구가 돌려져 영정주들이 배열되고 점질토, 사질토를 교대로 판축한다. 다음으로 내측보완토루와 부석시설이 만들어지지만 구간에 따라 생략되기도 한다. 외측보완토루는 또다시 세운 영정주열과 중심토루벽을 지지벽으로 판축되는데 시기, 구간에 따라 외측하단부에 기단석축으로 보완하기도 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