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국가단계의 정치체로이 성장은 한강유역의 대형분과 성곽의 출현이라는 고고학적 기준으로 볼 때, 그 시점을 3세기 중후엽으로 소급하기는 어렵다. 이 무렵 백제로 대표되는 한강유역의 정치체는 서진과 활발하게 교섭하고 있었음이 드러남에 따라 『진서』 마한조의 대서진 교섭의 실체는 백제로 보아야 할 가능성이 극히 높다.
이러한 백제의 국가단계로의 성장과 아울러 백제토기의 새로운 양식이 출현하고 있는 바 백제토기의 계통 파악은 백제 건국 주체의 계통과 관련하여 중요한 검토대상이 되는데 검토 결과 서진 무렵의 고월자의 문양 요소가 두드러진 흑색마연토기의 출현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편, 백제의 왕묘로서의 고구려식 적석총의 출현 시기는 백제가 고구려와의 대등한 관계로 성장하여 활발하게 전쟁을 일으키던 4세기 중엽 이후로 밝혀졌다. 이로써만 보면 백제의 건국 주체는 고구려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 있는 통설과 다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건국조의 기년을 한강유역의 고고학적인 편년에 그대로 대비해보면 이 무렵은 타날문토기의 등장과 거의 일치될 뿐이어서 그 국가 형성 시점은 물론이고 그 계통을 고구려로 보기 어렵다. 기록을 존중한다면 백제 건국 주체인 온조 일파가 이 무렵 한강유역 정착으로 봐도 좋으나 계통이 고구려임을 보여주는 적극적 자료는 분명치 않다. 그렇다면 백제의 건국과 관련한 건국설화나 석촌동고분군에서의 고구려식 적석총의 출현은 어떻게 설명할지가 문제인데. 이는 4세기 중엽 이후 백제의 성장의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