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과거 연구와 문제의 소재)
2. 와당 이면 접합의 수키와 선단부에 대해서
3. 와당 이면 접합위치와 그 형태
4. 등와 접합형태로부터 본 기법의 위치지움과 그 변천
5. 서혈사지·주미사지·대통사지 출토 팔엽소변연화문 등와
6. 맺음말
요약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성시대의 기와제작 개시 때 와당문양에 대해서는 주변국가, 예를들어 낙랑·고구려 등에는 유례가 없지만, 제작기법면의 유사점을 통해서 보면 이들의 영향을 받으며 여기에 백제의 토기제작기술이 가미되어 기와제작의 전개가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2. 웅진시대에 이르러 처음으로 한성시대에는 보이지 않았던 와당문양에 연화문이 출현한다. 또한 이 시기에 이르러 본격적인 목조건축사원의 건립, 궁전 조영 등이 행해지고 조직화된 와전의 생산체제가 확립된다.
3. 지금까지는 웅진시대의 등와기법이 전대 한성시대의 기와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한성시대에 주류적 기법으로 행해진 상감기법은 웅진시대에도 있었다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웅진시대에 등와ⅡA1 기법이 처음으로 출현하고, 그 후 사비시대의 조와기법에 영향을 주며 계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앞으로 과제이지만 지금까지 언급한 등와기법은 고대일본 옥와(屋瓦)에도 존재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