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삼국시대 원추형 수식에 대한 연구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10권 제5호
  • 저자 김문자
  • 발행일 2002년 10월
  • 게재지 복식문화연구
  • 발행처 복식문화학회

목차

Ⅰ. 緖論
Ⅱ. 圓錐形 垂飾 樣式의 分類
Ⅲ. 結論

요약

삼국시대 원추형 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환식이면서 중간식이 화롱형인 (A-a식)과 화롱형이 아닌 (A-b식)의 경우 삼국 모두에서 출토되고 있으나 그 형태는 약간씩 차이가 난다.
대롱형 태환식이면서 중간식이 화롱형인 (B-1-a)의 경우에는 삼국 모두에서 출토되고 있으나 특히 고구려, 백제지역 출토품은 거의 동일한 형태로 보일만큼 유사하여 그 상관 관계가 주목된다.
대롱형 태환식이면서 중간식이 화롱형이 아닌(B-1-b식)의 경우에도 삼국 모두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이 양식은 전자와 달리 고구려와 고신라 출토품의 형태가 거의 유사하게 보인다.
판금형 태환식이면서 중간식이 화롱형인(B-2-a식)의 경우는 아직까지 그 출토 예가 없으며, 중간식이 화롱형이 아닌 (B-2-b식)의 경우는 아직까지는 고구려 지역에서만 그 출토 예를 볼 수 있다.
즉 분류된 A-a, A-b, B-1-a, B-1-b, B-2-b식의 5가지 양식 중 A-a, A-b, B-1-a, B-1-b는 고구려, 백제, 고신라 모든 지역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는 양식이며, B-2-b식은 고구려 지역에서만 출토되고 있다.
이중 특히 B-1-a,식은 고구려와 백제의 형태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이며, B-1-b식은 고구려와 고신라의 형태가 거의 비슷하게 보여 그 상관 관계가 주목할만하다.
삼국시대 원추형 수식들은 심엽형 수식들에 비해 숫적으로 적고 고구려 지역 같은 경우는 고분편년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양식들의 선후관계를 정확히 밝히기는 어려우나, 心葉形 修飾付 垂飾에 앞서 유행했던 양식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수식 연구들이 주로 귀걸이류의 일부로서 주로 심엽형 수식에 국한되어 고찰되던 것을 연구의 범위를 넓힌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필자 결론)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여래상의 복식 연구
    • 발행처복식문화학회 
    • 저자서미영 박춘순 
    • 발간년도 
    • 게제지복식문화연구 제11권 제5호 
    자료카드

'김문자'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삼국시대 경식에 관한 비교연구 : 백제, 신라, 가야 고분을 중심으로(삼국시대 頸飾에 관한 비교연구 : 百濟, 新羅, 加耶 古墳을 중심으로)
    • 발행처수원대학교 
    • 저자김문자  
    • 발간년도 
    • 게제지지역사회개발 제5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관식에 대한 연구(百濟 冠飾에 대한 硏究)
    • 발행처한복문화학회 
    • 저자김문자 
    • 발간년도 
    • 게제지한복문화 제5권 제2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일본 고대 복식에 미친 백제복식의 영향
    • 발행처한국복식학회 
    • 저자김문자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복식학회지 제62권 제5호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