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부모산성 현황과 발굴조사 내용
Ⅲ. 인각와의 제작기법 및 특징
Ⅳ. 맺음말
요약
부모산성은 부모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축조된 테뫼식 형태의 석축산성으로 2004년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북문지와 수구부 상면 퇴적층에서 백제시대 평기와가 다량 수습되었는데 이 중 백제 웅진기 이후 사비기에 주로 나타나며 백제 고도지역에서만 확인되고 있는 인각와(인각명문와)가 수습되었다. 기와에서 관찰되는 속성 등을 통해 제작기법을 추정해 보면 먼저 일부 문양을 지운 것이 소수 확인되나 모두 배면에 뚜렷하게 선문을 타날 하였다. 일반적 명문이 암기와에 주로 사용된 것에 비해 부모산성 출토품은 수키와에 주로 인각을 찍은 것으로 확인된다. 특징적 기술적 속성으로는 기와내면에 와통과 소지 사이에 매개물로서 포목통보와 갈대발통보를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며 포목통보와 갈대발 통보를 동시에 사용한 흔적이 다수 관찰되는 점이다. 형체를 알아볼 수 있는 기와에 사용된 인각(도장)은 모두 5개로 ‘前’ ‘北’ ‘大’ ‘문양’ 2이다. 인각에 찍힌 ‘前’과 ‘北’의 의미는 백제 중앙 5부와 지방 5방을 뜻하는 명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백제 인각와가 주로 출토되는 지역을 보면 사비기 백제 중심지인 부여․익산지역을 중심으로 주로 출토되며 그 외 5방성으로 비정되는 공주․고부 일대 그리고 섬진강 하류지역․대전 금산 지역․청주 등으로 신라와 국경지대를 이루고 있는 지역에 해당된다. 동일 유형의 인각와 또는 명문이 출토되는 지역에서는 평기와에서 내면 갈대발 통보를 사용한 제작기법의 특징과 국경지대에 분포하고 있는 성곽으로 유적 중심연대 및 출토유물 편년이 사비기로 설정되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인각와의 제작기법․명문 내용․출토유적 분포 상황으로 볼 때 당시 신라와 대치하던 백제는 이러한 국경지대의 주요 거점성 또는 방과 방의 중심지인 방성으로 비정되는 곳에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대적인 성곽 정비와 축성을 행하면서 이 때 산성내 주요 건물에 대한 기와의 제작도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주요 거점지역에 대한 축성주체와 그 지역의 군사적 방어체계를 담당하거나 감독하였던 부처를 표기하기 위하여 평기와 제작시 소량품에 ‘部 ’또는 ‘方’을 뜻하는 ‘前’․‘北’등의 문자를 인장에 새겨 표기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