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백제 한성시대와의 기원에 대하여(2)-풍납리 토성 9호지 출토 평기와를 중심으로-(百濟 漢城時代瓦의 기원에 대하여(2) -風納里 토성 9호지 출토 평기와를 중심으로-)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6호
  • 저자 藤原隆夫
  • 발행일 2005년 12월
  • 게재지 영남학
  • 발행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목차

1. 머리말
2. 편기와 자료에 대해서
3. 풍납리토성 출토 평기와 자료의 검토
4. 풍납리토성 출토 평기와의 특징
5. 후기

요약

風納里土城跡 9호지 출토 평기와를 중심으로 풍납리토성은 1967년 표면조사보고 후 1977년에 발굴이 이루어져서 대량의 토기, 철기, 청동기뿐만이 아니라 금동기, 금은 등의 공예품과 낙랑군 계통의 전문토기가 많이 출토되었다. 기와에 있어서는 동시대의 타의 유적보다 여러 형태의 것이 출토되었다. 그러나 四區畵의 수막새만으로는 편년을 추적하기가 어렵다. 출토 기와의 대부분의 암, 수키와는 「風納里Ⅰ,Ⅱ」 약 60점, 「한신대학박물관보고서 Ⅲ,Ⅳ」에 약 100점이 발표되었고, 현재 문화재연구소에서 새롭게 출토한 기와가 수백점에 이르고 있다하니 이의 자료 분류와 편년의 추구가 하루속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필자는 2000년부터 樂浪瓦의 百濟瓦 와의 관련을 더듬어 탐구하여 왔으나 이번에는 「한신대학박물관보고서Ⅳ」의 9호지에서 출토된 암, 수키와에 중점을 두고 검토를 실시하였다. 암키와는 凸면의 시문을 縄文, 線條文, 格子文, 無文의 4계통으로 大別하고, 동시에 각각의 요면의 상태를 布目痕과, 그것을 물손질로 지운 無文으로 2分하여 전체적으로 8형식으로 분류하였다. 수키와는 凸면의 격자문, 무문의 2계통이 확인되었지만 타 유적의 것을 감안하여 암키와와 같이 4계통으로 생각할 수가 있다. 또 측면에는 樂浪瓦의 영향이라 생각되는 “刀痕+破面” 調整과 고구려기와로 부터의 영향으로 보이는 테두리 깎기 조정(한면 양면)이 확인 되었다. 그리고 제작기술면에서는 粘土紐桶卷製法이나 中途에서 새로운 粘土輪積製法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수키와에는 玉綠과 行墓式,전자부터 후자로의 移行期形式이라고 생각되는 단부에 단면이 비스듬히 曲綠을 그리는 형식이 있었다. 이상의 諸調整이나 제작방법 등에 대한 불충분하나마 変遷過程一覽表를 작성하여 감히 後學의 檢討의 대상이 되었으면 한다. (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백제한성시대 평와의 기원에 대하여-낙랑토성출토 평기와를 중심으로-(百濟漢城時代 平瓦의 기원에 대하여 -낙랑토성출토 평기와를 중심으로-)
    • 발행처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저자藤原隆夫 
    • 발간년도 
    • 게제지영남학 제6호 
    자료카드

'藤原隆夫'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한성시대 평와의 소개(百濟 漢城時代 平瓦의 紹介)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藤原隆夫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39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한성시대 평와의 기원에 대하여-낙랑토성출토 평기와를 중심으로-(百濟漢城時代 平瓦의 기원에 대하여 -낙랑토성출토 평기와를 중심으로-)
    • 발행처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저자藤原隆夫 
    • 발간년도 
    • 게제지영남학 제6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한성시대에 기원한 와(瓦)에 대하여(Ⅰ) -검단산성(劍丹山城) 출토 기와 자료를 중심으로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藤原隆夫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36집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