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 목간서사문화의 수용
2. 다면목간문화
3. 목간의 형태별 분류
4. 목간의 용도별 분류
맺음말
요약
한국고대목간은 출토된 양이 적고,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매우 짧기 때문에, 한국고대목간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 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일본의 목간연구에 반드시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고대의 목간문화를 중국, 일본 등 주변 동아시아의 목간문화들과 비교하면서 시기별로 그 특징을 조망해볼 필요가 있다. 본고의 1장에서는 이러한 비교사적 관점에서 목간서사문화의 수용과정을 검토하였고, 이어 2장에서는 한국고대 목간문화의 특징으로서 ‘다면목간문화’를 제창하였다. 이를 기초로 3장과 4장에서는 한국고대목간을 형태별로, 또 용도별로 분류하였다. (필자 머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