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圈域別 遺蹟 分包
Ⅲ. 刀劍의 分類 및 編年
Ⅳ. 刀劍을 통해 본 古墳社會의 變遷
Ⅴ. 맺음말
요약
최근 호남지방에서 철기의 출토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철제 무기는 당시의 사회조직이나 정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국가 체제의 발전과 관련이 있는 유물이다. 따라서 도검의 출토는 피장자의 세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유물이며 위신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다.
도검의 출현은 2~3세기의 분구묘(주구토광묘)와 같이 하고 있으며 호남지방에서 권역별로 중요한 거점지에서 출토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2~4세기 중반에는 호남지방의 전역에서 혈연을 중심으로 한 집단이 결속력을 강화하려 하였던 것으로 파악되며 대외적인 관계망에서 선점권을 장악하였던 고창지역이 중심지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4세기 중반~5세기 중반에는 환두도의 전통은 지속되지만 목병도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일정지역을 중심으로 상위 수장층이 분포하는 각 지역집단들을 다스리는 이른바 지역적ㆍ계층적인 위계화가 이루어졌으며 광역적인 세력이 형성되어 지역적인 단위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통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세기 후반부터는 백제-영산강ㆍ가야-왜로 상정되는 대외적인 관계망 구축과 더불어 장식대도와 금동제 위세품이 활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5세기 후반부터는 나주 일원에서 확인되던 장식대도와는 반대로 그 주변이나 해안경로상에 위치하고 있는 각 거점지에서는 목병도가 출토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처럼 목병도가 5세기 후반에 이르러 집중되고 있는 것은 무기체계나 정치적인 변화와 더불어 파생된 듯 하다.
지금까지 호남지방에서 확인된 도검은 시대상을 잘 반영하는 유물임에 틀림없다. 도검은 집단의 대외적인 교류의 선점성을 나타내는 상징물, 또는 중앙 정부와 관련된 지방세력의 권위를 드러내는 위세품으로 때로는 집단의 운영체제를 지키기 위한 무기로서 의미를 잘 반영하는 유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