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부여 규암면 외리출토 백제문양전 고찰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14호
  • 저자 박대남
  • 발행일 2008년 12월
  • 게재지 신라사학보
  • 발행처 신라사학회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 문양전의 형태적 특성
Ⅲ. 도교의 관점에서 본 백제문양전의 도상해석
Ⅳ. 문양전 출도유정의 성격 검토
Ⅴ. 맺음말

요약

최근 부여 능산리 사지의 백제 대향로와 왕흥사의 목탑지 출토 사리구와 진단구가 출토되어 사비시기의 위덕왕대의 문화가 규명되면서 부여 규암면 외리출토의 백제 문양전의 성격도 새롭게 고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백제 문양전의 형태적 특징을 문양전 출토상황과 벽전으로서 기능, 백제 문양전의 문양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어서 도교의 관점에서 백제문양전의 도상해석을 시도하여 보았다.
문양전 문양은 이 문양의 구성을 중심연결문양인 삼산문과 화문을 따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三山紋으로 연결되는 산수문전 2종과 귀신문전 2종이 한 세트를 이루고, 花紋으로 연결되는 반룡문전 봉황문전, 연화문전, 연화와운문전은 부문양으로 새롭게 유입된 연주문이 테두리를 두르고 있다.
삼산으로 연결된 문양전은 비교적 고식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반면, 그간 백제 미술에 있어 전혀 등장하지 않았던 주제인 연주문을 통한 花紋으로 연결된 조합은 새로운 문양 타입으로 볼 수 있다. 연주문은 본래 직물의 문양으로 사용된 것으로 여러 문양전을 연결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서역에서 출발하여 중국 북제나 수를 거친 것으로 이해되는 연주문이 포함된 문양전이 표현된 것은 위덕왕대 북제와의 새로운 외교정책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외리의 백제 문양전은 개별적으로 존속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의 유기적인 흐름을 가지고 있다. 특히 벽전이라는 기능을 생각하여 볼 때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도교적인 내용이 강한 각 문양의 도상적인 성격을 볼 때 불교와 관계된 유적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적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도교와 관련된 건물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문양전의 구체적인 용도에 대해서는 앞으로 좀 더 생각해 봐야하겠지만, 문양전의 문양내용이나 구성 및 제작 수준 등을 고려한다면, 적어도 국가나 왕실과 관련하여 제작된 것이 아니었을까 짐작된다. (필자 요약)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미륵사지 금동사리외호의 제작 기법과 문양 분석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이송란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6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미륵사지 석탑 출토 은제관식에 대한 검토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이한상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6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과 사리장엄구 연구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한정호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6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금동식리로 본 삼국시대 장송의례의 한 단면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이한상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20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장보고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유민과 신라인들의 불사활동(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양은경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8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 귀갑문 고찰(百濟 龜甲文 考察)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이귀영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8호 
    자료카드

'박대남'님께서 발행한 자료

  • 박대남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