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영산강유역에 존재한 “옹관고분사회”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화두(話頭)로 자리매김했지만, 아직 그 기원이나 성장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실마리를 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특히 2~4세기대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중요한 과제로 거론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산강유역의 2~4세기대 무덤에서 출토된 토기를 분석해 본 결과, 3세기 후반에 들어 토기의 제작 및 매납 전통이 크게 두 개의 지역단위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지금의 나주영암무안화순 지역 등을 포함하는 지역단위와 함평영광고창 지역 등을 포함하는 지역단위로 구분되는데, 이를 편의상 영산강유역단위와 전남서북지역단위로 명칭하였다. 양 지역단위에서는 관으로 사용한 옹 뿐만 아니라 이중구연호와 단경호 등 당시의 무덤 매납 토기도 서로 다른 유형의 토기를 부장하였다.
영산강유역단위에서 U자형 대형 옹의 초기 형태는 2세기 후반의 늦은 시점부터 출현한다. 또 옹관은 3세기 전반에 주구(周溝)가 돌려진 무덤의 중앙에 자리잡기 시작하며, 4~5세기대에는 옹관고분(甕棺古墳)을 형성한다. 반면 전남서북지역단위에서는 3세기 후반에 선황리식 옹관을 끝으로 대형 옹관이 사라진다. 이와 함께 토기의 부장에서도 영산강유역단위와 차이가 나는 것은 당시 양 지역단위가 서로 다른 정치적 환경에 속했음을 암시한다. (필재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