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
Ⅲ. 백제 관의 종류
Ⅳ. 백제 관모에 사용된 직물의 특성
Ⅴ. 맺음말
요약
본 연구에서는 고대 국가 가운데 백제의 고분에서 발굴된 관과 관련된 유물에 수착된 직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관의 제작에 사용된 직물의 종류와 용도를 살펴보았으며 유물에 남아 있는 바느질의 흔적을 조사하여 관 제작에 사용된 바느질기법도 알아 보았다.
금동관에 사용된 직물은 모두 평직의 견직물이며 용원리의 금동관에 비교적 투공율이 높은 綃가 사용되었다. 직물을 사용한 부분은 첫째, 금동관 내부의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피부보호를 위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짐작한다. 두 번째 사용부분은 백화수피와 금동투조판 사이로 배접용으로 사용되었다고 본다. 금동관에 사용된 직물의 경우 외부에서 직물을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은 금동판 사이의 부분들로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錦과 같이 화려한 직물보다는 평견직물이 사용되었다고 본다.
금과 은으로 만든 관식에서는 직물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복암리 발굴보고서에 의하면 은제관식에 띠 형태의 직물을 사용하여 착용하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각형관은 철제테에 운모와 금판을 함께 장식한 관, 테에 금판장식을 달아 장식한 관, 테의 가운데 부분에 은제관식을 달은 관, 테만을 사용한 관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테에 사용된 직물은 견․변형 평직․綃․紋羅․無紋羅․紋綾․錦 등을 한 겹 또는 여러 겹으로 감쌌으며, 삼각형 내부에는 금판이나 운모와 같은 장식을 달 경우에는 여러 겹으로 하였고, 삼각형테만으로 구성할 때에는 변형평직이나 綃․羅와 같이 투공성이 높은 직물을 대체로 한 겹으로 사용하였다. 사용된 직물은 장식을 달은 관일수록 羅․錦과 같은 고급직물을 써서 계층별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직물을 잇는 방법은 홈질, 감침질, 어슷감침질, 반박음질, 휘갑치기 등으로 바느질하여 봉합하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