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한성백제 장신구문화의 전개양상
1. 장신구문화 등장의 토대
2. 한성시기 장신구문화의 전개
III. 장신구 사여를 통한 지방지배의 방식
1. 장신구의 공간적 분포양상
2. 장신구의 사여를 통한 지방지배
IV. 맺음말
요약
이 글은 귀금속 장신구를 분석함으로써 한성시기 백제가 지방을 어떤 방식으로 지배해 나갔는지에 대하여 검토해본 것이다.
먼저 장신구 출토예를 집성하고 제작기법을 분석함으로써 백제적인 장신구의 특색을 찾아보려 하였다. 현재까지의 자료에서 보면 5세기를 전후한 시기가 되면 고깔모양의 금동관모, 금제 세환이식, 귀면문 장식의 대금구, 금동제 투조 식리가 제작되며 이후 왕도 한성이 함락되는 475년 이전까지 백제적인 색채가 농후한 장신구문화가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성시기의 백제 장신구가 어떻게 분포하는지에 대하여 주목하여 보았다. 장신구는 서울, 성남, 오산, 원주, 청주, 청원, 천안, 공주, 서산, 익산, 고흥 등 11개 지역에 위치한 20기 이상의 고분에 부장되어 있는데 대체로 각 지역의 중심고분군에 한정되는 양상이다. 제작기법 및 수준에 주목하면 이러한 물품은 중앙에서 제작하여 지방에 사여한 위세품이며, 용도는 관복에 준하는 복식의 부품과 장송의례용품으로 볼 수 있다. 장신구를 사여받은 지방세력 가운데는 나름의 독자성을 지닌 지방 후국적인 존재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백제 왕실은 이들과 상하관계를 맺고 지방지배의 중핵이 된 담로 혹은 거점성의 장으로 임명한 것으로 추정되며 장신구가 그 매개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