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완형토기의 분류
Ⅲ. 완형토기의 지역별 양상
1. 한강유역권
2. 금강유역권
3. 영산강유역권
Ⅳ. 영산강유역권 완형토기의 전개와 백제
1. 다른 지역과의 완형토기 비교
2. 공반유물로 본 백제와의 관계
Ⅴ. 맺음말
요약
완형토기는 원삼국시대 경질무문토기에서 나타나고 타날문토기단계가 되면 정형화되며 백제 한성기에도 이어지고 있다. 영산강유역권의 완형토기는 수량이 많고 형태적으로도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다른 지역과 비슷한 변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런 점에서 완형토기는 한성기 백제와 영산강유역의 관계를 파악해 볼 수 있는 자료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먼저 백제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완형토기 중에서 중소형을 외반형과 직립형으로 나누고 각각 2개와 3개의 형식으로 세분한 후 한강유역권, 금강유역권, 영산강유역권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서 형식들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영산강유역권의 완형토기는 형식의 출현에 따라 4단계로 파악된다. 원삼국시대에 해당하는 1단계는 외반A형이 주류를 이루는 단계이다. 2단계는 직립Ab형이 나타나는 단계로 영광, 함평 일대에서 소량이 확인되며 중심시기는 4세기 중엽경으로 추정된다. 3단계는 외반B형이 나타나는 단계로 영암, 무안 등 영산강하류지역에서 많이 발견되며 무덤에서의 발견 사례도 많은 편이다. 시기적으로는 5세기를 전후한 때로 추정된다. 4단계는 직립B형이 나타나고 외반B형도 이어지는 단계로 5세기 전반경으로 추정되는데 지역적으로 분포 차이를 보인다. 특히 고창이나 광주 일대의 북쪽 지역에는 직립B형이 많은 편인데 파배, 배부병, 토제 아궁이틀 등 새로운 유물들과 함께 나타나고 있다. 완형토기의 형식과 함께 이러한 유물들의 조합으로 보아 3․4단계에는 충청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과의 관계가 상정된다.
이 시기 충청북부지역의 세력들은 백제의 지배체제하에서 여러 역할들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고고학 자료들로 보아 금강유역권이나 영산강유역권을 포함한 여러 지역 집단들이 일본 畿內지역의 여러 곳에 정착하였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한성기 후반 영산강유역권에 나타나는 완형토기를 비롯한 관련 유물들은 백제와 영산강유역의 관계가 충청북부지역을 포함한 백제의 다른 지역세력을 매개로 이루어진 관계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