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백제 인각와의 특징
1. 出土地域
2. 形態
3. 形式分類
4. 編年
Ⅲ. 인각와를 통해 본 백제 사비기 기와 수급체제의 변화
Ⅳ. 맺음말
요약
백제시대의 유물 중 도성 오부제를 실시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印刻瓦가 있다. 하지만 인각와 내의 명문이 애매모호하여 그 연구성과는 현재까지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확인된 인 각와를 대부분 소개하고 인각와를 지역적, 제작방법, 형식분류 및 편년적인 특징을 분석하여 작게나마 인각와의 제작 시기 및 제작 목적을 추론하고, 그 당시 기와의 생산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 분포의 특징에서 중앙권력과의 연관성으로 인각와가 부여와 익산, 그리고 오방성지역과 신라와의 접경지대에서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제작 방법을 통해 체계적인 통제하에 대량생산체제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추론할 수 있었으며, 형식 분류를 통해 공급의 측면이 강조되어 만들어졌음을, 편년을 통해서 7C대에 부여와 익산에서 폭넓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각와의 특징은 7C대에 들어 와서 도성과 익산지역의 기와건물에 기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대량 생산체제인 1(생산·공급):다수(사용)의 수급체제가 성립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생산체제는 중앙 권력의 통제하에 놓여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