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백제금동대향로 연구사론
Ⅲ. 고대 사회에서 香의 기능
Ⅳ. 백제금동대향로와 음악
Ⅴ. 백제금동대향로의 유교적 성격
Ⅵ. 祥瑞로서의 백제금동대향로
Ⅶ. 맺음말
요약
백제금동대향로의 도상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5樂士이다. 백제에서는 음악을 중요시했고, 당대인들의 음악에 대한 관념은 철저히 유교적이었다. 또한 악기의 구조에 대한 의미 부여와 해석도 그러했다. 당대의 이러한 음악관이 백제금동대향로에 반영되어 있다. 5악사의 음악 연주는 태평성대의 염원을 표현한 것이다. 백제금동대향로 도상은 끝없이 펼쳐지는 경관 속에 다양한 존재들의 삶이 하나의 장대한 파노라마를 이루는 大觀의 모습으로, 문화적 융성기의 시대적 산물이었다.
백제금동대향로 도상 중의 불교적 성격은 오히려 미미하다. 그에 비해 도상의 배치는 다분히 유교적 표현이다. 백제에서는 고구려․신라와는 달리 삼교 간의 사상적 마찰이나 대립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없었다. 백제는 유교적인 天命 의식을 바탕으로 보편적이고 윤리적인 고전문화를 지향했던 선진적인 사회였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을 밑바탕으로 해서 백제금동대향로가 탄생한 것이다.
백제금동대향로는 당시 중국에서 유행하는 양식을 따르면서도, 古式인 漢代 博山香爐 양식을 절충하고, 거기에다 5악사 도상과 같이 백제금동대향로만의 독특함을 첨가한 것이다. 天人感應論에 근거한 漢代 유교는 군주의 올바른 행위에 대해서는 하늘이 祥瑞를 내리고, 올바르지 못한 군주의 행위에 대해서는 災異를 내려 경고한다는 것이다. 『삼국사기』 백제 말 기록에 많은 재이가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백제 사회의 유교적 관념을 드러낸 것이다. 백제동대향로의 5악사와 봉황은 상서 출현을 통해 태평성대를 꿈꾸었던 백제인들의 염원을 표현한 것이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