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유적현황과 분류
Ⅲ. 토기분석과 단계설정
Ⅳ. 변천양상 및 특징
Ⅴ. 맺음말
요약
이 글은 광양 용강리 고분을 토기 중심으로 분석하여 변천과정을 살펴 본 것이다. 고분의 묘실구조를 유형별로 나누고, 각 유형별 토기의 변화양상을 통한 편년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4기로 구분하여 특징을 살펴보았다.
I기는 백제가 전남동부지역으로 영역을 확장한 시기로 재지적 고분양상에 백제적 요소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용강리 유적에서는 백제토기가 부장된 석개토광묘가 축조되었다. 전남동부지역에서는 가야계 수혈식 석곽묘가 일부 지속되고 있으며, 가야계토기와 백제토기가 함께 나타나는 가운데 가야계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II기는 백제묘제의 유입단계로 횡구식 석실분이 축조되기 시작한다. 전남동부지역에서는 대가야와 신라를 대비하기 위한 산성을 축조하면서 백제 물질문화가 다량으로 유입되었다. 고분부장 토기로 병형토기가 표지적 유물로 사용된다. III기는 백제문화가 지속되면서 신라적 요소로서 토기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즉 늦은 형식의 백제 병형토기와 인화기법의 토기가 출토되고 있다. IV기는 통일신라의 묘제가 사용되는 단계로 인화문이 시문된 합의 활용도가 높으며 개배, 병형토기, 단경호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광양 용강리 고분은 6세기 전반대부터 통일신라단계까지 축조되었으며, 유물상에서 인근의 광양 마로산성과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