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무령왕비 은팔찌 명문의 재검토(武寧王妃 은팔찌 銘文의 再檢討)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17집
  • 저자 기호철, 배재훈
  • 발행일 2014년 8월
  • 게재지 한국고대사탐구
  • 발행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목차

Ⅰ. 머리말
Ⅱ. 명문 판독
Ⅲ. 명문 번역
Ⅳ. 명문에 담긴 뜻
Ⅴ. 맺음말

요약

1972년에 발굴된 무령왕릉은 왕과 왕비의 합장릉으로, 왕의 오른쪽에 묻힌 왕비가 왼손에 찬 은팔찌 한 쌍에는 똑같은 내용을 담은 글이 17자씩 새겨져 있었다. 발굴보고서에서는 이를 “庚子年二月多利作大夫人分二百卅主耳”로 판독하였으며, 앞의 8자를 경자년(520) 2월에 多利가 만들었다고 하였다. 특히 팔찌를 만든 ‘다리’는 일본 法隆寺釋迦三尊像光背명문에 보이는 불상을 만든 ‘止利(とり)’와 상통하며 ‘지리’는 ‘다리’가 속하던 백제의 工匠집안에서 갈려 나왔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후 연구자들은 ‘다리’를 큰 의심 없이 백제의 장인 이름으로 이해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主’는 ‘銖’와 같은 무게의 단위이거나 ‘炷’와 같은 수량의 단위일 것으로 추정하여 대체로 “경자년에 多利가 만들었으며, 大夫人것으로 230主가 사용되었다.”고 풀이하였다.
그러나 은팔찌에 보이는 ‘다리’와 일본의 ‘지리’라는 인물 사이에는 100년 이상 연대 차이가 있는 데다가, 渡來人지리의 선대를 살펴보아도 지리나 다리를 인명에 사용한 예가 없었다. 시공을 무시하고 단지 양자의 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이를 이름으로 추정한 것은 온당하지 않다. 게다가 ‘卅’으로 보았던 것은 ‘世’로 보아야 하고, ‘分’으로 읽은 글자는 두 팔찌에 새겨진 글자가 사뭇 달라 ‘兮’, ‘於’, ‘永’ 등으로도 읽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문장을 다시 대입하여 분석하고 삼국시대 木簡등을 살펴 “庚子年二月. 多利作大夫人, 永二百世主耳.”로 읽고 문장을 분절하여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무령왕비를 ‘다리작 대부인’으로 일컬었다고 보아야 하며, ‘永二’의 ‘二’를 疊字부호 ‘ ’로 보아 ‘永永’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이를 “경자년 2월에 만들었다. 다리작 대부인이 영원토록 백세의 소유주이실 뿐입니다.”라고 번역할 수 있었으며, 이는 팔찌의 주인 무령왕비를 祝壽하는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건축 백제 정림사지 석탑 하부 축기부 판축토의 성격(百濟 定林寺址 石塔 下部 軸基部 版築土의 性格)
    • 발행처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조원창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탐구 제5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분묘 6~7세기 나주 지역 정치세력에 대한 시론적 검토: 복암리1호분 출토 녹유탁잔의 명문을 중심으로
    • 발행처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배재훈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탐구 제9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삼국시대 향로 연구(三國時代 香爐 硏究)
    • 발행처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이용진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탐구 제5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풍납토성 출토 문자와 부호 탐론(風納土城 출토 文字와 符號 探論)
    • 발행처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신희권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탐구 제15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의 태안반도 진출과 서산 부장리 세력
    • 발행처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이경복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탐구 제3권 
    자료카드

'기호철, 배재훈'님께서 발행한 자료

  • 기호철, 배재훈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