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분묘출토로 전하는 청동유물 가운데 주로 세형동검을 비롯 공반된 유물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準王의 남래와 연결시켜 마한 중심세력이 성장할 수 있었던 계기적 측면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전기 무문토기단계와 송국리단계의 주거지와 옹관묘 등이 발견됨에 따라 연구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하겠다. 특히 신동리 토광묘 조사는 철기문화 유입을 살필 수 있는 유적이란 점에서 주목된다.
주구묘의 조사는 서해안일대의 마한관련 분묘를 확인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이 분묘는 영산강유역의 대형분규묘로 변화되었다고 여겨진다. 栗村理 墳丘墓는 주구묘의 이러한 변화를 확인해 주는 중간단계로서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익산지방에서 마한세력이 기원후 3세기까지 존재하고 있었다는 고고학적인 증거가 된다.
금강유역의 입점리, 웅포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수혈식석곽분, 횡구식석곽분, 횡혈식석실분 등 고분유적에 대한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한정된 지역내에서 각 유형별 고분에 대한 상화관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라 여겨진다. 곧 토착묘제인 수혈식석곽분에 백제 중앙세력의 묘제로 이해되는 횡혈식석실분이 어떠한 양상으로 수용되는가가 장제적인 면과 구조적인 면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된다. 외형적으로 구조적인 변화가 중앙묘제의 영향으로 일어나고 있지만 내재적인 장제적 변화는 고분이 지니는 강한 전통성과 보수성 때문에 서서히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고분의 변화과정을 통하여 백제중앙세력이 지방에 진출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데 그 시기는 5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한편, 입점리 1호분 피장자의 정치적 신분은 입점리, 웅포리 등에서 발견되는 수혈식, 횡구식석곽분이 피장자들에 의해서 뒷받침되었다고 판단되는데 이는 금동제유물과 중국제 청자의 발견이 당시 백제사회의 지방통치라는 점에서 정치체계와 맞물려 시사되는 바가 크다 하겠다. 그리고 성남리 고분군을 비롯한 금마일원의 횡혈식석실분의 피장자들은 현존 미륵사를 중심으로 한 백제말기의 문화유적들의 주인공이라는 점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필자 맺음말)